이창용 “지역 간 격차 너무 벌어지면 통화정책에 제약”

지역경제 심포지엄 환영사서 밝혀

한국은행 신축 통합별관 외관 모습. 사진공동취재단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일 “지역별로 경제 여건에 차이가 나는 것은 당연할 수 있지만 과도하면 통화신용정책과 재정정책 영향으로 경제주체들이 체감하는 경기, 물가, 금융 여건 등이 지역별로 크게 차별화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 총재는 이날 ‘2023 BOK 지역경제 심포지엄’ 환영사를 통해 “지역 간 격차가 너무 크게 벌어지면 통화정책 수행이 제약될 수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 총재는 “통화정책은 무딘 칼이기 때문에 국가 전체적으로 영향을 미치면서 차별적인 영향이 나타나면 국민적 공감대가 달라지면서 지지도도 달라질 수 있다”며 “지역 간 불균형을 해소하는 것이 국민 경제의 소득 불평등을 해소하는 것 이상으로 중요한 사안”이라고 설명했다.


한은은 통계청과 함께 정부와 지방자치제도의 지역균형발전 정책 수립에 기초가 되는 지역 통계 확충을 위한 방안을 논의하기로 했다. 이 총재는 “지역균형발전, 지역소멸, 지방재정 악화 등 지역 사회가 당면한 난제들이 산적해 있는 상황에서 지역 통계 확충을 통해 지역별 상황을 신속히 파악하고 적절한 대응책을 마련하는 것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한은은 그동안 지역내총생산(GRDP) 등 여러 지역 통계를 개발한 통계청과 협력하면서 한은이 발표하는 국내총생산(GDP) 간 정합성을 높인다는 방침이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