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세훈 "'메가시티'는 지방소멸에 대응하는 하나의 방안"

16일 김동연 지사, 유정복 시장과 3자 회동 앞둬

오세훈 서울시장과 한동훈 법무부 장관이 15일 오후 서울 동작구 서울여성플라자에서 열린 법무부-서울시 범죄피해자 원스톱 솔루션 센터 설치·운영 업무협약식에서 서명을 마친 뒤 센터를 둘러보고 있다. 연합뉴스


오세훈 서울시장이 서울과 인접 도시를 합치는 '메가시티'와 관련, 지방소멸에 대응하는 하나의 방안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오 시장은 16일 서울시의회 정례회 본회의 시정질문에서 이종배 국민의힘 시의원이 "'메가시티'는 세계적인 추세라고 볼 수 있느냐"라고 묻자 "지방소멸이 심각한 수준으로 진행돼 여기에 대응해 가능한 모든 방안을 동원해야 하는 시점이 왔다"며 이같이 밝혔다.


오 시장은 "(메가시티 논의는) 서울과 김포의 통합으로 시작됐지만, 이번 기회에 심도 있게 발전적인 방향이 논의돼서 지방소멸에 어떤 인사이트를 주고 모범사례가 될 수 있을지 모든 논의가 이뤄졌으면 한다"고 덧붙였다. 오 시장은 최근 사회적 화두로 떠오른 메가시티 논의와 관련해 지난 6일 김병수 김포시장, 13일 백경현 구리시장을 만난 데 이어 15일에는 국민의힘 '뉴시티 프로젝트 특별위원회' 조경태 위원장 등과 면담했다.


오 시장은 지난 15일 뉴시티 특위와의 면담에서 "6~10년간 기존의 자치권과 재정 중립성을 보장한 완충 기간을 두는 '단계적 편입방안'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그 배경에 대해 오 시장은 이날 시의회에서 "굉장히 많은 변화를 수반하는 새로운 시도이기 때문에 단기간에 큰 틀에서 행정 조직상의 변화, 재정 배분 상의 변화가 이뤄진다면 상당히 혼란스러운 상황이 예상된다"며 "충분한 시간을 논의하고 유예기간을 둬서 가능하면 지방자치단체장 임기와도 맞추는 완충 기간이 필요하다고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특히 김포 등 도농 복합도시에 적용되는 대입 농어촌 특례 전형을 유예하는 방안을 특별법에 담자는 제안에 대해 오 시장은 "일정 기간 완충 기간을 두고 충분한 기간 논의를 거쳐서 변화를 안정적으로 유도해 과도기적인 손익을 최소화하자는 취지"라고 말했다. 또 그는 "특위에서도 실효성이 있고 바람직한 제안으로 판단한 것으로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오 시장은 이날 오후6시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김동연 경기도지사와 유정복 인천시장을 만나 메가시티와 기후동행카드 등 수도권 현안에 대해 의견을 나눌 예정이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