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 APEC 방미 계기…美기업 1조 5000억 투자유치

GM·듀폰·IMC·에코랩 등 4개 기업 투자 신고
연간 4조 5000억 원 수출확대·수입대체 효과 예상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참석차 미국을 방문한 윤석열 대통령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지난 16일(현지시간) 미국 샌프란시스코 모스코니센터에서 만나 환담하고 있다. 연합뉴스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참석을 위한 윤석열 대통령의 미국 방문을 계기로 제너럴모터스(GM) 등 미국 4개 기업이 한국에 약 1조 5000억 원의 투자를 하겠다고 신고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GM, 듀폰, IMC, 에코랩 등 4개 기업이 자동차, 반도체 등 분야에서 총 1조 5000억 원(11억 6000만 달러)의 투자를 신고했다고 19일 밝혔다. 정부는 이들 기업의 투자로 연간 4조 5000억 원 이상의 수출확대와 수입대체 효과를 유발할 것으로 예상했다.


실판 아민 GM 수석부회장은 지난 15일 윤 대통령과의 면담에서 “한국 정부의 과감한 규제개혁과 글로벌 스탠다드에 맞는 제도개선으로 한국에서 기업활동 하는 데 자신감이 생겼고 지난 20년 간 파트너십에 이어 앞으로도 한국 생산을 계속 늘려 나가겠다”고 언급한 바 있다.


산업부는 이번 GM의 투자가 최근 정부의 규제개혁과 제도개선 등 투자환경 개선노력이 글로벌 기업의 한국 투자를 이끌어 내는 성과로 이어지고 있음을 확인하는 계기가 됐다고 평가했다.


듀폰은 국내에 조성되는 세계 최대 규모의 반도체 클러스터 조성계획과 연계해 반도체 소재·부품 생산공장과 R&D센터 증설에 2000억 원 이상(신규고용 100명 이상)을 투자하기로 했다. 이는 지난해 9월 윤 대통령 방미를 계기로 신고한 투자 규모의 2배에 달하는 추가 투자로서, 미국과 더불어 한국을 듀폰의 핵심 생산 및 연구개발 허브로 발전시켜 나겠다는 의지를 보여주는 것으로 평가된다.


버크셔 해서웨이의 자회사 IMC는 반도체 제조공정 또는 고강도 공구 제조에 사용되는 산화텅스텐 생산시설에 투자할 예정이다. 이는 해당 기업의 소재부품 분야에서는 한국 내 6번째 투자 프로젝트로 한국이 아시아·태평양의 소재부품 투자 거점으로 인정받고 있음을 보여준다.


에코랩은 반도체 제조용 연마제인 CMP슬러리 생산에 필수적인 고순도 나노입자(콜로이드 실리카) 생산시설에 투자하기로 했다. 이 회사가 최초로 해외에 건설하는 고순도 나노입자 공장이 한국에 지어질 전망이다.


방문규 산업부 장관은 “이번 투자가 첨단산업 한미 동맹 강화와 우리 반도체 산업 공급망 안정화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며 “투자에 대한 후속지원과 함께 킬러규제 혁파 등 투자환경 개선노력을 지속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