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깡통 대출' 3조 육박…가계보다 기업이 더 심각

4대銀 3분기 무수익여신 잔액
1년간 27.3% 늘어 2.9조 달해


고금리와 경기 침체로 대출이자조차 내지 못하는 가계와 기업이 급증하고 있다.






20일 은행권에 따르면 KB국민·신한·하나·우리은행의 무수익 여신 잔액은 지난해 말 2조 2772억 원에서 올해 3분기 말 2조 8988억 원으로 27.3% 급증했다. 같은 기간 4대 은행 총여신이 1295조 7838억 원에서 1334조 2666억 원으로 3.0% 증가하는 데 그친 것과 비교하면 눈에 띄는 증가세다. 이에 따라 총여신에서 무수익 여신이 차지하는 비율은 0.18%에서 0.22%로 높아졌다. 무수익 여신은 원금은 물론 이자조차 받지 못하는 대출을 의미하는데 은행들은 3개월 이상 원금 상환이 연체된 여신에 이자 미계상 여신을 추가 반영해 무수익 여신 잔액을 산정한다.


무수익 여신은 특히 가계보다 기업대출에서 더 심각했다. 4대 은행의 가계대출 부문 무수익 여신은 7462억 원에서 9234억 원으로 23.7%로 늘어난 반면 기업대출 부문 무수익 여신은 지난해 말 1조 5310억 원에서 올해 3분기 말 1조 9754억 원으로 29.0% 증가했다.


실제로 기업들의 파산도 급증하고 있다. 법원통계월보 등에 따르면 전국 법원이 접수한 법인 파산 사건은 올해 3분기 기준 1213건에 달해 지난해 동기(738건)보다 64.4% 급증했다. 개인 파산 접수가 올해 3분기 누적 3만 1012건으로 지난해(3만1 026건)와 거의 비슷한 것과 차이가 있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현재 부실 대출 규모는 관리 가능한 수준”이라면서도 “대출 만기와 상환 압박을 고려하면 내년 상반기가 기업들에 고비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