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효율 신축 열전소자로 웨어러블 기기 활용 기대
화승코퍼레이션(013520)의 메타물질 개발이 부각되고 있다. 한국전기연구원(KERI) 전기변환소재연구센터 최혜경·윤민주 박사팀이 자연계에 없는 ‘메타물질’을 활용해 열전발전 소자의 신축성과 효율성을 세계 최고 수준으로 높일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는 소식에 화승코퍼레이션의 메타물질 사업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22일 업계에 따르면 연구팀은 메타 구조를 지닌 ‘개스킷(gasket, 접촉면에서 가스나 물 등이 새지 않도록 하기 위해 넣는 일종의 패킹)’을 활용해 열전소자의 신축성을 최대 35%까지 높이는 데 성공했다. 열전소자는 양 끝의 온도 차이를 전기에너지로 바꾸는 원리다. 일상생활에서 낭비되는 열을 전력으로 활용할 수 있어 차세대 친환경 에너지 하베스팅 소자로 불린다.
그동안 대부분의 열전소자는 딱딱한 세라믹 기판을 활용하다 보니 피부나 온수관 같은 곡면에 적용하기 어려웠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실리콘이나 고분자 등 유연성 재료를 활용했지만, 높은 전도율이 문제였다. 열전소자는 각 물질 경계선의 온도 차이가 클수록 효율이 높은데, 유연성 재료는 전류를 너무 잘 흘려보내 열 손실이 발생했고, 큰 온도 차를 기대하기 어려웠다. 즉 열전소자는 유연·신축성과 효율성을 모두 잡는 것이 중요하다.
연구팀이 활용한 개스킷은 메타 구조로 되어 있어 열전소자의 구조적 안정성을 크게 높여준다.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고, 사람의 피부처럼 잘 늘어나며, 어느 곳에도 부착이 용이하다. 또한 개스킷 내부의 공기가 우수한 절연성을 가지고 있어 열 손실을 막고, 기존 유연 열전 소자 대비 온도 차를 최대 30%까지 높이는 등 열전소자의 효율성도 확보했다.
KERI의 열전소자는 최대 35% 이상의 신축성을 지니면서 전력생산 밀도는 20배 이상 높다. 열전소자 모듈을 크게 늘려도 전기적 특성의 저하가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러한 신축성과 효율성은 세계 최고 수준이다. 연구팀은 1만 번 이상의 반복적인 굽힘에도 소자가 성능 손실 없이 유지되는 내구성까지도 확보했다. 이번 연구성과는 에너지분야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에너지 머티리얼즈’ 내부 표지논문으로 선정돼 게재됐다. 구본혁 기자
화송소재는 2017년 파동에너지극한제어연구단으로부터 유체소음기 흡음재 메타물질 적용 연구 기술을 도입한 바 있다. 화승코퍼레이션은 화송소재의 의 지분 100%를 보유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