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창재 대산문화재단 이사장 "문학적 경험 제공해 세계 시민으로 성장 돕겠다"

신창재 대산문화재단 이사장(교보생명 대표이사 겸 이사회 의장)이 23일 저녁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제31회 대산문학상' 시상식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사진 제공=교보생명

"대산문화재단은 독자들에게 다양한 문학적 경험을 제공해 성숙한 세계시민으로 성장하는 것을 돕겠습니다."


교보생명 대표이사이자 이사회 의장인 신창재 대산문화재단 이사장이 지난 23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제31회 대산문학상' 시상식에서 재단의 사회적 역할에 대해 이같이 말했다. 신 이사장은 특히 "문학의 가치는 타인과 세상을 이해하는 통로"라며 "우리가 직면한 위기를 극복하는데도 문학이 소중한 자양분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대산문화재단은 1992년 대산 신용호 교보생명 창립자의 뜻에 따라 교보생명의 출연으로 창립된 민간 유일의 문학 지원 재단이다. 신 이사장은 교보생명 입사에 앞서 서울대 의대 교수로 재직 중이던 1993년 대산문화재단 이사장을 맡아 30년 동안 재단을 이끌고 있다. ‘경영을 잘하기 위해서는 돈을 잘 버는 것보다 잘 쓰는 법을 먼저 알아야 한다’는 선친의 유지를 따른 것이었다.


대산문학상은 신 의장이 재단을 맡은 뒤 한국 문학의 창작과 세계화를 목표로 제정된 국내 최대 규모의 종합문학상으로 지난해까지 147명의 작가가 거쳐갔다. 대산문화재단은 대산문학상 이외에도 신진 문인 창작을 지원하기 위해 대산창작기금을 조성해했으며 대산대학문학상을 제정해 신인 작가를 발굴하며 국내 문학계에 활력을 불어넣고 있다. ‘두근두근 내 인생’의 소설가 김애란, 2021 영국 대거상 번역추리소설상 수상 작가 윤고은을 비롯해 김연덕·전삼혜·정한아 등 한국 문단에서 활약하는 걸출한 신인을 배출했다.


아울러 한국 문학 번역·출판 지원 사업을 지원해 한국 문학을 전 세계에 널리 알리는 역할을 하며 박경리·황석영·이승우 등 한국을 대표하는 문인들의 작품을 세계 각국의 언어로 번역하고 해외에서 출판해 한국 문학의 지평을 넓혔다. 실제로 한강의 ‘채식주의자’가 영국에서 출판될 수 있도록 지원해 세계 3대 문학상인 ‘맨부커상’을 한국인 최초로 수상하는 데 힘을 보태기도 했다.



대산분화재단이 지난 23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제31회 대산문학상’ 시상식을 개최했다. 신창재 대산문화재단 이사장(뒷줄 오른쪽 두번째)이 수상자 및 관계자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한태숙(앞줄 왼쪽부터 시계 반대 방향) 연출가, 김기택 시인, 현기영 소설가, 이양구 극작가, 천명관 소설가, 천양희 시인, 백낙청 평론가, 신 이사장, 임철우 소설가, 안인경 한국외대 교수. 사진 제공=교보생명

대산문화재단은 올해 대산문학상에서도 어김없이 4개 부문 5명의 수상자를 선정했다. 올해 수상작으로 △시 부문에서는 '낫이라는 칼'의 김기택 시인 △소설 부문에서는 '제주도우다'의 현기영 작가 △희곡 부문에서는 '당선자 없음'의 이양구 작가 △번역 부문에서는 천명관의 소설 '고래'를 독일어로 옮긴 부부 번역가 마티아스 아우구스틴·박경희 씨가 선정됐다. 수상자에게는 부문별 상금 5000만 원과 함께 대산문학상 고유의 상패인 양화선 조각가의 청동 조각 작품 '소나무'가 수여된다. 시, 소설, 희곡 부문 수상작은 재단의 2024년도 번역 지원 공모를 통해 주요 외국어로 번역돼 해외에 출판, 소개될 예정이다.


신 이사장은 이날 시상식에서 올해 수상자들에 대해 애정어린 축하의 말도 전했다. 그는 "김기택 시인은 현실에 맞서 스스로를 벼리는 과정 속에서 언어 세공의 극점을 보여줬고 현기영 작가는 격동의 제주 근현대사를 총체적으로 형상화한 필생의 이야기를 들려줬다"고 평가했다. 그리고 "이양구 작가는 사회성과 작품성의 조화를 이룬 현실참여적 희곡 문학의 빼어난 모범을 보여줬으며 마티아스 아우구스틴·박경희 선생은 번역의 충실성과 가독성을 두루 갖춰 이야기의 힘을 살려냈다"며 "진심으로 축하한다"고 전했다.


신 이사장은 아울러 대산문화재단의 비전과 사회적 역할에 대한 남다른 소신을 밝혔다. 그는 "한국의 문학작품들은 우리 공동체가 마주한 현실의 문제를 진지하게 성찰하며 이제 언어의 경계를 넘어 해외의 독자들에게도 호응과 공감을 얻고 있다"며 "대산문학상이 한국문학의 발전과 세계화에 기여하는 종합문학상으로 역할을 충실히 해 나갈 수 있도록 계속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