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생활비 월251만원 필요한데…국민 절반 "노후준비 시작도 못했다"

노후생활비 5년새 40% 이상 뛰어
"필요자금 66%는 연금으로 조달"
은퇴 희망 65세…실제로는 55세
노년기 '살던 곳에서 계속 거주' 희망



우리나라 국민이 희망하는 은퇴 연령은 평균 65세이지만 실제 은퇴하는 나이는 이보다 10년 빠른 평균 55세인 것으로 나타났다. 은퇴가 생각보다 빨리 다가오지만 국민 절반 이상은 노후를 위한 경제적 준비를 시작하지 못했으며 평균적으로 기본적 의식주 해결을 위한 최소 생활비(월 251만 원) 마련도 어려운 것으로 조사됐다.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는 26일 이 같은 내용의 ‘2023 KB골든라이프 보고서’를 발표했다. 올해 1월 3∼27일 전국 20∼79세 남녀 3000명(가구 내 금융 의사 결정자)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다. 보고서에 따르면 응답자의 은퇴 희망 나이는 평균 65세였지만 실제 은퇴 나이는 약 55세였다. 노후를 위한 준비 기간이 줄어들면서 경제적 준비를 ‘아직 시작하지 못한 가구’가 52.5%였다. 경제적 준비를 시작한 경우 평균 45세에 대비에 나섰다.


응답자들은 노후 기본적 의식주를 위한 최소 생활비는 월 251만 원, 여행, 여가 활동, 손주 용돈 등의 비용을 포함한 적정 생활비는 월 369만 원이 필요하다고 봤다. 이는 KB금융이 코로나19 이전인 2018년 실시한 조사에서 최소 생활비 월 184만 원, 적정 생활비 263만 원으로 응답한 것에 비해 각각 67만 원(43.4%), 106만 원(40.3%)이 증가한 수치다. 5년 새 노후 생활비 예상 금액이 무려 40% 이상 뛴 것이다.


하지만 경제적 여건을 고려할 때 준비할 수 있는 노후 생활비는 월 212만 원으로 최소 생활비에도 못 미치는 것으로 조사됐다. 준비 가능한 노후 생활비의 대부분인 65.6%는 연금으로 조달할 것이라고 응답했다. 국민연금이 86.8%로 가장 많았고 개인연금(58.7%), 금융소득(55.9%), 퇴직연금(54.1%), 사학·군인·공무원연금(49.1%) 순이었다.


가구 구성 중 큰 비중을 차지하는 부부 가구의 경우 자녀가 있는 쪽이 자녀가 없는 부부 가구보다 노후 생활 준비가 상대적으로 잘돼 있었다. 자녀가 있는 부부 가구의 35.3%가 노후를 위한 경제적 준비를 ‘아직 시작하지 못했다’고 응답한 데 비해 자녀가 없는 부부 가구는 이 비율이 63.4%에 달했다. 하지만 경제적 준비를 시작한 경우 자녀가 있는 부부는 52세에 준비에 나선 반면 자녀가 없는 부부는 이보다 훨씬 빠른 36세부터 준비했다고 답했다.


노후 거주지를 선택할 때 고려하는 점은 은퇴 전후 시점에 따라 갈렸다. 은퇴 전 가구의 경우 노후 거주지의 주요 인프라로 ‘의료시설이 잘 갖춰진 곳(65.7%)’을 꼽았고 실제로 은퇴한 가구는 ‘은퇴 전 거주지에서 거주(42.6%)’를 희망했다. 고령자가 이제까지 살아온 지역 사회에서 계속 거주하고 싶다는 데 대해 전체 응답자의 66.2%가 동의했으며 내 집에서 노후를 보내는 데 있어 가장 큰 걱정 거리는 ‘배우자나 가족 간병’이라고 답한 응답자(32.5%)가 많았다.


황원경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 박사는 “기대 수명 연장, 부양 의무에 대한 인식 변화, 가구 유형 다양화 등으로 맞춤형 노후 준비가 필요한 시점”이라며 “특히 노년기에도 살던 지역에서 계속 살기를 희망하는 니즈가 증가하고 있으므로 이를 지원할 수 있는 주택 신축이나 개조 등을 허용하는 제도적 변화를 적극적으로 모색해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