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도해해상국립공원에서 맹독을 지닌 '넓은띠큰바다뱀'과 산호충류인 '밤수지맨드라미'가 처음 발견됐다. 이들은 모두 열대·아열대 해양생물인데 이번에 발견됨으로써 온난화로 국내 바다가 점차 뜨거워지고 있다는 증거다.
환경부 산하 국립공원공단은 다도해해상국립공원 무인도 소간여와 거문도 주변 해역에서 주로 열대 바다에 사는 넓은띠큰바다뱀과 산호인 밤수지맨드라미를 처음 확인했다고 26일 밝혔다.
코브라과에 속하는 넓은띠큰바다뱀은 주로 필리핀과 대만, 일본 오키나와 등 서태평양 따뜻한 바다에 서식한다. 이 뱀은 바닷속에서 살다가 번식·산란·탈피는 육지에서 하는데 독이 일반 독사보다 20배 강한 맹독성 파충류라 주의가 필요하다.
국내에서는 2015년 8월 제주 서귀포시에서 살아있는 넓은띠큰바다뱀이 처음 포획됐다. 다만 이후 연구에서 1995년 부산 수영구에서 잡힌 '먹대가리바다뱀'이 사실 넓은띠큰바다뱀이었던 것으로 확인됐다.
넓은띠큰바다뱀은 제주 외에 부산, 경남 통영, 전남 여수 등에서 서식이 확인됐다. 이에 한국이 넓은띠큰바다뱀 서식 '북방한계선'으로 꼽힌다. 국내 연안에서 발견된 넓은띠큰바다뱀은 대체로 대만이나 일본 쪽 개체가 해류를 타고 넘어온 것으로 추정된다.
밤수지맨드라미는 수심 5~25m, 해류가 빠른 곳에 사는 밤송이를 닮은 산호다. 주로 일본 타나베만과 인도양 등에 분포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는 제주 해역에 서식한다. 밤수지맨드라미는 멸종위기 야생생물 2급으로 수온에 민감해 기후변화에 따른 해양생태계 변화를 연구하는 데 있어 중요한 생물로 꼽힌다.
온난화에 해수면 온도가 오르면서 국내 바다에서 열대·아열대 생물이 발견되는 일이 잦아지고 있다.
국립생물자원관은 최근 3년간 울릉도 주변 해역에서 관찰된 어류 131종 가운데 열대·아열대성 어류가 76종으로 전체 58.5%에 달했다고 밝혔다. 열대성 어류와 아열대성 어류는 각각 49종과 27종으로 나타났는데, 이를 합치면 온대성 어류(48종·36.9%)의 1.5배나 된다.
서식 종이 늘어나면 생물다양성 측면에서 좋은 것 아니냐고 생각할 수 있지만 새 종이 들어왔다는 것은 기존 종이 살기 어려운 환경이 됐다는 의미일 수 있다. 새 종과 기존 종이 생존경쟁을 벌이면서 결과적으론 종 다양성이 감소할 수도 있다.
이러한 변화가 생태계 교란이나 어업 피해로 이어지는 사례도 늘고 있다. 노무라입깃해파리 같은 독성 해파리가 대량 증가하면서 생태계는 물론 어민들에게 경제적 피해를 주고 있는 현상 역시 기후변화가 원인으로 꼽힌다.
국립수산과학원에 따르면 올해 8월 하순부터 9월 초순까지 한반도 주변 해역 표층 수온은 26도로, 위성을 이용한 표층수온 관측을 시작한 1990년 이래 가장 높았다. 국립공원공단은 제주도 해역의 표층 수온이 지난 36년간 2℃ 증가했다고 밝힌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