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킬러 문항(초고난도 문항)’ 배제 방침이 적용된 올해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은 국어·수학·영어 영역 모두 역대급 ‘불수능’이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국어의 경우 표준점수 최고점(원점수 만점자의 표준점수)이 지난해보다 무려 16점이나 치솟으며 역대 최고 수준으로 어렵게 출제됐는데, 마찬가지로 어렵게 출제된 수학의 표준점수 최고점보다도 2점 높았다. 지난해 수능에서 국어 표준점수 최고점이 수학보다 11점이나 낮았던 것과 비교하면 큰 변화다. 영어 역시 절대평가 도입 이후 1등급 비율이 최저치를 기록했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은 지난달 16일 시행된 2024학년도 수능 채점결과를 7일 발표했다.
영역별 표준점수 최고점을 살펴보면 국어는 150점으로 지난해 수능 점수보다 무려 16점이나 올랐다. 역대 최고였던 2019학년도 수능과 동일한 점수다. 표준점수는 수험생의 원점수가 평균과 얼마나 차이 나는지를 보여주는 지표다. 시험이 어려워 평균이 낮으면 표준점수 최고점은 높아지고 시험이 쉬워 평균이 높으면 표준점수 최고점은 낮아진다. 통상 입시전문가들은 표준점수 최고점이 140점 이상이면 어려운 시험으로 보는데, 올해 수능 국어는 150점을 넘겨 매우 어렵게 출제된 것으로 분석된다. 만점자 역시 지난해 371명에서 64명으로 크게 줄었다.
수학 역시 매우 어려웠다. 표준점수 최고점은 148점으로 지난해 145점보다 3점 높아졌다. 2022학년도부터 통합 수능이 도입된 이후 최고치다. 만점자 역시 934명에서 612명으로 줄었다.
지난해 수능에서 11점이나 차이가 났던 국어, 수학 표준점수 최고점이 올 수능에서는 2점으로 크게 줄었다. 특히 지난해는 수학이 11점 높았으나 이번 수능에서는 국어가 수학보다 2점 더 높았다.
영어 영역도 절대평가 도입 이후 가장 어렵게 출제됐다. 90점 이상에 해당하는 1등급 비율은 상대평가 1등급 수치와 비슷한 4.71%를 기록, 절대평가가 도입된 2018학년도 수능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지난해 수능에서 1등급 비율은 7.83%였으며 10%가 넘었던 수능도 두 차례 있었다.
전 영역 만점자는 1명으로 나타났다. 평가원 관계자는 “만점자는 재학생이 아닌 졸업생”이라고 설명했다. 수능 만점자는 최근 5년간 △2019학년도(9명) △2020학년도(15명) △2021학년도(6명) △2022학년도(1명) △2023학년도(3명)이었다.
심민철 교육부 인재정책기획관은 “이번 수능은 ‘킬러문항’을 배제하면서도 충분한 변별력을 갖췄다고 평가된다”라며 “지금까지 학생들이 ‘킬러문항’을 풀기 위해 사교육업체에서 문제풀이 기술을 배우려고 노력했다면, 앞으로는 사고력, 추론 등 전반적인 실력을 기를 수 있도록 학업 본연에 집중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