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이번엔 '우라늄 사재기'…글로벌 에너지공급망 위협

니제르·카자흐 광산 지분 인수
흑연 등 광물 수출통제 연장선




핵심 광물자원에 대한 수출통제를 강화하고 있는 중국이 이번에는 핵 원료인 우라늄 사재기에 나선 것으로 알려졌다.


원전을 활용한 에너지믹스로 탈탄소에 힘을 쏟고 있는 한국은 우라늄의 34%를 중국과 러시아로부터 수입하고 있다.


중국이 우라늄에 대한 입도선매 장기 계약을 체결하고 광산을 매입하는 반면 해외 반출에는 소극적일 경우 서방은 물론 한국의 에너지 공급망에도 위협 요인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10일(현지 시간)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중국국영우라늄공사(CNUC)와 중국종합원자력그룹(CGN)의 자회사는 니제르·나미비아·카자흐스탄 광산 지분을 이미 매입했으며 특히 CNUC는 카자흐스탄 국경 옆 신장 지역에 우라늄 거래 허브 역할을 할 창고를 짓고 있다. 이처럼 중국이 글로벌 시장에서 우라늄 선취매에 나서는 것은 2060년 탄소 중립 목표를 위해 향후 4400억 달러(약 520조 원)를 투입해 최소 150기의 원자력발전소를 건설하기로 했기 때문이다. 중국은 세계 2위의 원자력 생산국으로 전 세계에서 건설 중인 원자로의 50%가량을 차지하고 있다. 중국이 우라늄 사재기에 나서는 것은 갈륨·게르마늄·흑연 등 핵심 광물에 대한 수출 규제를 강화하고 있는 것과 같은 맥락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에 대해 정범진 경희대 교수(한국원자력학회장)는 “우리나라는 1년 치 이상의 우라늄을 비축해두고 있어 여유가 있는 상황”이라면서도 “자원 공급망 안정화를 위해 당장 손해가 나더라도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우라늄 광산 등을 확보해놓는 등 대응책을 고민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기획재정부는 11일 ‘경제안보공급망관계장관회의’를 열고 공급망 정책 전반을 총괄하는 컨트롤타워를 설치하기로 했으며 공급망안정화위원회도 신설하기로 했다. 또 내년 하반기 중 공급망 안정에 필요한 물자를 ‘경제안보품목’으로 지정해 관련 물품을 생산·공급하는 기업에 투자·금융 지원을 강화할 계획이다. 기업들도 대응책 마련에 분주하다. 무역협회에 따르면 올해 1~10월 기준 천연흑연·인조흑연의 중국 수입 의존도는 각각 97.7%, 94.5%에 달한다. 이에 대주전자재료·한솔케미칼·SK머티리얼즈 등 소재 업체들은 흑연 대신 실리콘을 넣은 차세대 음극재 생산을 확대하고 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