뤼튼, 5천만 쓰는 ‘메가플랫폼’ 자신…‘아시아 시장 진출 청신호’

2024년 전략 공개…‘메가플랫폼’에 방점
쉬운 AI 사용, RAG·KLAUD 자체 기술로
스튜디오2.0 내년 상반기, 무료 정책 계속
6개월내 500만 MAU 목표, 亞 최고 될 것

“생성형 인공지능(AI) 시장은 모델 개발이 중심이 된 1막이 막 마무리되고 기업이나 개인들이 자신의 앱이나 서비스를 만드는 2막이 시작됐습니다. 하지만 결국에는 모델이나 앱이 아닌 플랫폼 단에서 최종 승자가 될 메가플랫폼이 나올 것입니다.”



이세영 뤼튼테크놀로지스 대표가 19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사진제공=뤼튼테크놀로지스

이세영 뤼튼테크놀로지스 대표는 19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내년 회사의 사업 전략을 설명하며 자사 서비스를 메가플랫폼 반열에 올려놓겠다고 선언했다.


이 대표가 메가플랫폼을 사업 전략의 중심에 놓은 데는 플랫폼 영역이야말로 빠르게 변하는 AI 기술 환경 속에서 가치를 지속할 수 있기 때문이라는 판단이 작용했다. 그는 “단발성이거나 경쟁력을 상실할 위험이 높은 기술이 아니라 대체 되지 않을 기술이 중요하지 않겠냐”며 ”웹 시장의 흐름을 봐도 초기에는 부동산 정보, 증권 정보 등 특화 사이트들이 생겨났지만 그것을 흡수하고 종속한 것은 포털이었다. 현재 생성 AI 시장도 웹 초기 모습을 닮아있다”고 설명했다. 웹 서비스의 통로가 된 포털처럼 뤼튼도 AI 앱의 플랫폼이 되겠다는 것이다.


뤼튼은 메가플랫폼으로 거듭나기 위해 누구나 생성형 AI를 사용하기 쉬운 환경을 제공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대형언어모델(LLM)이 잘못된 정보를 그럴듯하게 뱉어내는 환각(할루시네이션) 현상을 보완할 검생증강생성(RAG)이나 통합관제(MoM) 등 자체 기술을 고도화하고 있다. 또한 다양한 LLM을 원하는 의도에 맞게 사용할 수 있게 각 LLM들의 특징을 평가한 자체 평가 지표 ‘KLAUD’도 개발했다. 이 지표를 바탕으로이용자 질문 성격과 이용자 발화 의도에 맞게 최적의 LLM을 호출해 최선의 답을 내놓을 수 있다는 게 뤼튼의 복안이다.


GPT-4, GPT-4터보 등 유료로 제공되는 글로벌 빅테크의 LLM들은 현재 뤼튼 플랫폼을 통해서는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 회사는 앞으로도 무료 정책을 지속하겠다고 발표했다.



이세영(왼쪽 두번째) 뤼튼테크놀로지스 대표를 비롯한 회사 임원들이 19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질의에 답하고 있다.사진제공=뤼튼테크놀로지스


이 회사가 AI 앱 생태계 확장을 위해 내놓은 뤼튼스튜디오도 내년 상반기 2.0 버전이 출시된다. 복잡한 코딩 기술 없이도 자연어 대화나 드래그앤드롭을 통해 자신 만의 AI 에이전트나 앱을 쉽게 만들 수 있게 돕는 서비스다. 현재 스튜디오를 통해 만들어진 앱은 1만 5000개를 웃돈다.


뤼튼은 향후 자사 플랫폼을 전 국민이 쓰는 플랫폼으로 만들 것이라고 자신했다. 이를 위한 첫발로 내년 상반기까지 월간활성사용자수(MAU) 500만 명 달성을 목표로 삼았다. 올해 초 4만 명 수준이었던 뤼튼의 MAU는 9개월 간 매주 평균 10%씩 성장해 현재 200만 명 돌파를 앞두고 있다. 이 대표는 “유망한 스타트업들의 성장을 돕는 실리콘밸리의 Y콤비네이터 역시 10%대면 예외적인 성장 속도로 보고 있다”며 “10%대 성장을 이어온 앱들은 누구나 쓰는 앱들이 됐다”고 말했다.


국내에서는 국민 앱을 노리는 동시에 해외 진출도 지속한다. 지난달 일본에 지사를 설립했으며 일본에서도 뤼튼은 MAU 3만 명을 돌파했다. 이 대표는 “일본에서도 단기적으로 MAU 100만 명 돌파를 목표로 하고 있다”며 “일본을 넘어 중동, 동남아 지역까지 진출해 아시아 최고의 AI 기업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