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서 딱지 맞은 일본산 가리비, 한국으로 수출 계획…정부는 "수입 규제 유지"

26일 후쿠시마 오염수 정례 브리핑



7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진행된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 관련 브리핑에 박구연(왼쪽 세번째) 국무조정실 국무1차장이 참석해 앉아 있다. 연합뉴스


일본 정부가 최근 중국이 수입을 금지한 가리비를 한국 등으로 수출하겠다는 방침을 밝힌 것에 대해 우리 정부는 일본산 수산물에 대한 수입 규제를 기존과 동일하게 유지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박구연 국무조정실 국무1차장은 26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후쿠시마 오염수 관련 정례 브리핑에서 "정부는 후쿠시마 인근 8개 현의 모든 수산물에 대한 수입을 금지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그 외 지역에서의 가리비를 포함한 수산물에 대해서는 매 수입 때마다 매건 방사능 검사를 실시하고 미량이라도 방사능이 검출되면 추가 핵종 증명서를 요구하여 사실상 수입을 금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박 차장은 일본 정부가 공개한 가리비 수출을 중국 대신 한국, 유럽연합(EU)으로 확대한다는 계획에 대해 "어디까지나 일본측의 계획에 불과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정부는 현재의 일본산 수산물 수입 규제 하에 그간 지속해온 방사능 검사를 한 치의 빈틈 없이 계속해 나간다는 입장"이라고 했다.


교도통신 보도에 따르면 일본 정부는 전날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 오염수(일본 정부 명칭 '처리수') 해양 방류로 중국 수출길이 막힌 가리비의 새로운 수출 시장으로 한국과 EU를 개척한다는 내용으로 실행 전략을 개정했다.


일본 정부는 가리비 수출과 관련해 2025년 수출 목표는 656억 엔(약 6000억 원)을 유지하면서 국가·지역별 목표를 신설했다. 한국에는 총수출액의 6.3%에 해당하는 41억 엔(약 375억 원)어치를, EU에는 45억 엔, 태국에는 24억 엔, 베트남에는 5억 엔 어치를 각각 수출한다는 목표를 설정했다.


중국은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와 관련해 8월부터 일본산 수산물 수입을 전면 금지하고 있다. 한국은 2013년 9월부터 후쿠시마 인근 8개 현에서 잡힌 수산물은 수입을 전면 금지하고 있고 그 외 지역 수산물은 수입 시 방사능 검사를 실시하고 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