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년 세계박람회(엑스포) 부산 유치 무산에도 가덕도신공항이 2029년 12월 개항 목표를 그대로 유지한다.
국토교통부는 오는 29일 윤석열 정부의 국정과제로 추진하고 있는 ‘가덕도신공항 건설사업’의 기본계획을 고시한다고 28일 밝혔다.
기본계획에 따르면, 가덕도신공항은 심야시간대에도 운영이 자유로운 24시간 국제공항으로 지어진다. 공항건설에 총 13조 4900억 원을 투입해 대형화물기(B747-400F 등) 이착륙이 가능한 3500m의 활주로 1개를 건설한다.
부산신항 등과 연계한 글로벌 물류허브도 가덕도신공항의 주요 역할이다. 항공화물수요의 처리를 위한 화물터미널 1만 7200㎡(건축연면적) 및 화물 관련 시설 부지로 9만 8000㎡를 조성한다. 장래 화물수요 증가에 대비한 시설 확장 부지 4만 7000㎡도 확보했다.
항공물류, 해상·항공 복합물류(Sea & Air) 활성화를 위한 특화 단지 등 입주가 가능한 지원시설부지 126만㎡도 별도로 조성한다. 이는 축구장 약 180개 규모이며 부산신항과 연계한 물류중심 공항으로 발전시켜 나갈 계획이다.
가덕도신공항은 안전한 스마트공항을 지향한다. 정밀계기접근(Cat-Ⅲ)이 가능한 항행안전 및 항공등화 등의 공항시설을 설치해 항공안전 확보는 물론, 항공기 운항 정시성을 극대화한다는 구상이다. 정밀계기접근은 활주로 중심선, 착륙 각도(3°), 활주로에서 항공기까지 거리 등의 정보를 제공해 항공기가 활주로에 안전하게 착륙할 수 있도록 해주는 시스템이다.
가덕도신공항은 해상에 건설되는 만큼 태풍(해일) 등에 의한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100년 빈도의 심해설계파를 적용해 방파호안을 설계했다. 심해설계파는 항만·해양 구조물 설계를 위해 해양수산부에서 제시한 파향별, 빈도별(10년, 20년, 30년, 50년, 100년) 파고다. 100년 빈도는 최대값이다.
기본계획 단계에서 지형측량 결과 등을 반영한 'BIM(건설정보모델링)' 모델을 마련하고, 설계·시공·운영에 걸친 모든 단계에 BIM을 적용한다. BIM은 3차원(D) 모델링 기반으로 건설분야 전체 생애주기 동안 적용되는 정보를 생산·관리하는 기술이다.
가덕도신공항 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교통망 구축도 함께 추진한다. 가덕대교~신공항까지 접근도로와 부산신항철도와 신공항을 연결하는 공항철도를 건설한다. 해상 이동이 가능하도록 해수부, 부산시 등 관계기관과 협의해 연안여객터미널도 설치한다. 미래 모빌리티인 도심항공교통(UAM) 버티포트(UAM 수직 이착륙장) 구축을 위한 부지도 이번 기본계획에 반영했다.
국토부는 내년 상반기에 가덕도신공항 여객터미널 건축설계공모, 부지조성 공사 발주 등을 추진할 예정이다. 또 이를 위한 전담조직인 가덕도신공항건설공단도 내년 4월까지 설립한다. 국회는 내년도 정부예산안에 가덕도신공항건설공단 설립을 위한 97억 800만 원을 신규 반영했다.
백원국 국토부 제2차관은 "가덕도신공항은 남부권의 하늘길을 확대하고 부산·진해 신항과 연계한 글로벌 물류 허브 조성에 핵심 역할을 할 것"이라며 “신공항을 적기에 건설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