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 출생률 하락에 “산후 출산휴가 10주→6개월 추진”

지난해 합계출생율 1.68명, 전년대비 6.6% 감소
엘리제궁 "자녀 출산 장벽 없앨 것"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이 16일(현지시간) 밤 기자회견을 열어 향후 정책 추진 방향을 설명했다. AFP연합뉴스

프랑스가 갈수록 낮아지는 출생률을 높이기 위해 현행 10주인 출산휴가를 6개월로 늘리는 정책을 추진한다.


16잃(현지시간)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은 생중계된 기자회견에서 “현재는 여성이 둘째 자녀까지 산전 6주와 산후 10주 등 총 16주의 출산휴가를 쓸 수 있는데 부부 모두 산후 휴가를 6개월로 늘리겠다”고 밝혔다. 이어 마크롱 대통령은 “육아휴직 기간이 최대 3년이지만 여성이 육아휴직 기간 노동시장에서 배제되고 월 지원금(428.7유로·약 60만원)도 적어 (휴직자를) 불안하게 한다”고도 지적했다.


실제 프랑스 일간 르몽드에 따르면 육아휴직 기간 낮은 보조금 탓에 여성의 14%, 남성의 1%만 육아휴직 제도를 이용하고 있다.


마크롱 대통령은 실효가 적은 육아휴직 대신 출산 후 6개월 동안 부모가 출산휴가로 아이와 함께 지내고 이 기간 지원금도 늘리는 새로운 출산 휴가를 도입하겠다는 입장이다. 엘리제궁은 이런 방안이 “아이를 낳고자 하는 욕망에 대한 경제, 사회적 장애물을 없앨 것”이라고 기대했다.


프랑스 통계청(INSEE)이 발표한 2023년도 인구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프랑스에서 태어난 아기는 전체 67만8000명으로, 2022년 72만6000명보다 6.6% 줄었다.


합계 출산율은 2022년 1.79명에서 2023년 1.68명으로 떨어질 것으로 예측됐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