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高 여파' 중기 5곳 중 2곳만 설 상여…1인당 평균 61만원

중기중앙회, 중소기업 811개사 조사
자금사정 곤란한 이유 1위 '매출 부진'


중소기업 4곳 중 1곳은 지난 해 설보다 올 설 자금 사정이 더 곤란한 것으로 조사됐다. 설 상여금 지급 계획이 있는 기업은 5곳 중 2곳 정도였고, 1인당 평균 상여 지급액은 61만원 정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29일 중소기업중앙회에 따르면 이달 8~16일 중소기업 811개를 대상으로 실시한 '2024년 중소기업 설 자금 수요조사' 결과 지난해 설 대비 최근 자금 사정이 곤란하다는 응답이 26.6%로 집계됐다.


지난해와 다르지 않다는 응답(56.1%)은 절반이 넘고 원활하다는 응답은 17.3%에 그쳤다.


자금 사정이 곤란한 이유(복수 응답)로는 판매·매출 부진(65.7%)이 가장 높았다. 이어 원·부자재 가격 상승(52.3%), 인건비 상승(32.4%), 판매대금 회수 지연(10.2%) 등의 순으로 응답률이 높았다.


금융기관을 통한 자금 조달에 대해서도 ‘원활하다’는 응답은 19.5%에 그쳤다. 68.9%는 ‘지난 해와 다르지 않다’, 11.6%는 ‘곤란하다’고 답했다. 금융기관 자금조달의 걸림돌(복수응답)로는 높은 대출금리(31.3%), 재무제표 위주 심사(8.4%), 대출한도 부족(7.6%), 과도한 서류 제출 요구(7.0%) 등이 꼽혔다.


설 명절 필요 자금 평균 금액은 2억3890만 원 정도로 집계됐다. 부족한 자금의 평균은 1940만원이었다. 부족한 자금 해결 방안(복수응답)으로는 납품 대금 조기 회수(35.4%), 결제 연기(30.4%), 차입(17.7%) 등이 꼽혔다. 하지만 ‘대책이 없다’는 응답도 31.6%에 달했다.


설 상여금 지급 계획이 있는 기업은 41.8%로 집계됐다. 25.2%는 아직 결정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여금 지급 수준은 현금 지급 시 1인당 평균 60만9000원으로, 지난해 설의 40만 원보다 20만9000원 많았다. 정률 지급 계획이 있는 기업은 평균적으로 기본급의 60% 정도를 계획하고 있었다.


설 연휴 휴무 계획은 94.7%가 설 공휴일(2월 9~12일)에 맞춰 쉴 것이라고 응답했다. 5.3%는 공휴일 외에 평균 1.3일 정도 추가 휴무를 실시할 것이라고 답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