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철수 "의대 정원 확대 찬성하지만…무조건 수만 늘리는 건 근본적 해결책 아냐"

안철수 국민의힘 의원. 연합뉴스

안철수 국민의힘 의원이 정부의 ‘의대 입학 정원 확대’ 방침에 찬성 입장을 밝히면서도, 소아청소년과 등 필수 의료 기피 현상 등을 해결하지 않으면 근본적인 대책이 될 수 없다고 상황을 짚었다.


서울대 의대 출신인 안 의원은 7일 전파를 탄 MBN '뉴스와이드'에 나와 "우선 의사가 더 늘어야 한다는 것에 대해서는 저도 국민의 한 사람으로 찬성하는 입장"이라고 운을 뗐다.


그러면서 안 의원은 "이렇게 증원만 하고 필수 의료 기피문제에 대해 해결하지 않으면 10년 후에는 매년 서울에서 2000개의 피부과가 만들어질 것"이라고 지적했다.


안 의원은 이어 "저는 문제를 해결할 방법을 찾고 거기에 따라 정확하게 의사 숫자를 계산해서 늘리자는 입장으로, 무조건 숫자만 늘린다고 해서 문제가 해결될 건 아니다"라고도 했다.


아울러 안 의원은 "지금 첫번째로 큰 문제는 '내외산소'(내과·외과·산부인과·소아청소년과) 의사가 절대적으로 부족한 것"이라며 "충분한 의료 인력이 확보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여기에 덧붙여 안 의원은 "두번째 문제는 '의사 과학자'가 필요하다"며 "직접 환자를 진료하기보다는 병의 원인을 발견하고 치료 방법을 개발하고 실험하는 그런 의사 과학자들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세번째 문제는 '지방 의료'라고 밝힌 안 의원은 "이런 문제에 대해 제대로 해결할 의지나 재정을 투입할 계획을 갖고 나서 '우리가 이 정도 의사가 부족하니까 더 늘리겠다'고 제안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안 의원은 기피 과의 인력난 해결방안을 두고는 "현재 인력이 부족한 이유 중 하나는 수가가 굉장히 낮다는 것"이라며 "수가를 높여야 한다"고 말했다.


앞서 보건복지부는 6일 정부서울청사에서 보건의료정책심의위원회(보정심)를 열고 2006년 이후 3058명으로 동결됐던 의대 정원을 2025학년도 입시에서 5058명으로 2000명 더 늘릴 계획이라고 밝혔다.


정부는 지역·필수 의료 위기를 의대 증원으로 타파하겠다는 목적이지만, 의협을 비롯한 의사단체들은 집단 휴진, 파업 등을 예고하면서 강력하게 반발하고 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