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인교, 플랫폼법 겨냥 "통상마찰 최소화해야"

■취임 첫 기자간담
"범국가적 관리를" 공정위에 전달
트럼프 집권 대비 정보망 총동원


정인교(사진)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이 15일 공정거래위원회의 플랫폼공정경쟁촉진법 추진과 관련해 “주요 파트너들이 공식·비공식 우려 사항을 제기하고 있어 통상 마찰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해야 한다”고 밝혔다.


정 본부장은 취임 이후 첫 출입기자단과 간담회에서 플랫폼법 추진이 통상 마찰로 비화할 위험이 있었다고 밝혔다. 정 본부장은 “최근 국내 규제가 통상 문제가 돼 우리의 통상 정책 역량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며 “이를 어떻게 범국가적으로 관리할지가 중요한 숙제”라고 언급했다. 국내 통상 당국 수장이 국내외 초대형 플랫폼을 사전 지정해 최혜 대우 요구를 금지하고 멀티 호밍을 제한하는 게 핵심인 플랫폼법 추진에 관해 우려를 내비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정 본부장은 이 같은 우려를 공정위에도 전달했다고 밝혔다.


정 본부장은 또 “세계무역기구(WTO)에서 피소 건수가 중국 다음으로 한국이 많다”며 “국내 정치적 이슈나 그런 것으로 보면 타당한 이유가 있겠지만 정책 결정을 할 때는 통상 정책적 관점도 충분히 고려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WTO 체제가 출범한 1995년 이후 2022년까지 우리나라의 WTO 분쟁 현황을 보면 제소는 20건, 피소는 19건으로 집계됐다.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의 재집권을 대비한 대응 방안도 마련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정 본부장은 “정책 당국 입장에서 특정 정당과 후보의 문제를 공개적으로 언급하기는 어렵다”면서도 “미국 통상정책 기조가 앞으로 어떻게 전개될지 계속 검토하고 가동할 수 있는 정보망을 총동원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를 위해 다음 달 미국 워싱턴 출장도 다녀올 예정이다. 방미 기간 중 미국 정치권과 정부, 학계 등을 두루 면담할 계획이다.


중국과 경제 관계도 안정적으로 관리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정 본부장은 “앞으로 많은 문제가 있을 수 있겠지만 중국 역시 우리나라와 공급망뿐 아니라 경제 관계를 유지하는 데 관심이 높다”며 “우리가 가진 나름의 레버리지(지렛대)를 잘 활용해 중국과의 관계도 원만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려고 한다”고 설명했다.


정 본부장은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인하대 국제통상학과 등에 몸담은 학자 출신으로 지난달 통상교섭본부장으로 임명됐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