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지주, 자본성증권 발행 러시…"손쉬운 자금조달에 기대"

부채 아닌 자본으로 분류 이점
화장술에 그친다는 비판도



금융지주들이 자본건전성을 높이기 위해 신종자본증권·코코본드와 같은 자본성증권 발행 러시에 나서고 있다. 돈을 빌리면서도 빚은 지지 않는 효과 덕분에 은행권의 자금조달 창구로 각광받는 모습이다. 다만 금융지주들이 근본적인 자본 경쟁력 강화보다는 편한 ‘우회로’에 기댄다는 비판도 나온다.


18일 금융권에 따르면 4대 금융지주(KB·신한·하나·우리)는 올 상반기 자본성증권 발행 채비에 나서거나 이미 발행을 완료했다. KB금융(105560)이 이달 28일 2700억 원의 신종자본증권 발행을 앞두고 있다. 하나금융은 계획했던 발행 금액(2700억 원)에서 4000억 원으로 증액해 발행했다. 금리는 4.45%로 금융지주 발행물 중 역대 최저 수준을 기록했다. 신한지주(055550)와 우리금융은 앞서 4000억 원씩 신종자본증권을 연 4.490% 금리로 찍었다.


신종자본증권·코코본드와 같은 자본성증권은 만기가 없거나 만기가 통상 30년 이상으로 길어 주식과 채권 성격을 동시에 지닌 하이브리드 채권이다. 회계상 ‘부채’가 아닌 ‘자본’으로 분류되기 때문에 금융사의 자본 확충 수단으로 활용된다.


금융지주가 자본성증권 발행에 열을 올리는 것도 이런 이점과 맞물린다. 자본으로 인정받기 때문에 은행의 재무 건전성 지표인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자기자본비율이 떨어지는 것을 방어할 수 있다. 특히 금융당국이 지난해 선제적 리스크 관리 차원에서 지주들에 자기자본을 1%포인트 추가로 쌓도록 주문한 만큼 수요가 높은 상황이다. 시중은행의 한 관계자는 “자본적적성 제고를 비롯해 차환 목적의 발행이 이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문제는 자본성증권 발행을 통한 자본확충이 재무 부담을 늘릴 수 있다는 점이다. 변제 순위가 선순위채권보다 뒤로 밀리기 때문에 더 높은 금리를 매겨 투자자에게 많은 이자비용을 지불해야 하기 때문이다. 올해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사태와 주가연계증권(ELS) 손실로 대규모 충당금 적립이 불가피한 상황에서 수익성이 훼손될 수 있다는 것이다.


자본성증권이 부채비율 수치만 낮추는 '윈도우드레싱(인위적인 관리)' 수단으로 변질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금융권의 한 관계자는 “금융지주들이 이익 창출능력을 키워 자본 경쟁력을 강화하거나 양질의 투자자를 확보하는 본질적인 노력보다는 회계적인 '화장술'에 기댄다는 비판도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