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과 게가 경종 독살설의 단초? 조선시대 요리서 3종 재탄생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시대 한글 요리서 3종 정리한 역주서 펴내
장서각 소장 주식방문·음식방문이라·언문후생록 담겨
음식인문학자 주영하 "음식학, 생활사 연구 기여"

/사진 제공= 한국학중앙연구원


“감과 배와 게를 함께 먹지 말고, 과실이 땅에 떨어져 구더기가 꼬인 것을 먹지 말며 먼저 익어서 떨어진 과실은 독한 벌레가 숨어 있을 것이니 먹지 말아야 한다.” (조선 요리 비법 564쪽)


우리 선조들은 식사를 할 때 감과 배 그리고 게의 조합을 위험하게 여겼다. 자칫 잘못하면 목숨을 앗아갈 수 있을 정도로 음식 궁합으로는 상극이라는 것이다. 이는 조선 제21대 왕 영조가 왕위에 있던 52년 내내 이복형이자 선왕인 경종을 독살했다는 의심에 시달리게 한 단초가 됐다. 경종실록에 따르면 경종은 복통과 설사에 시달리다가 사망했는데 원인으로 이틀 전 먹은 생감과 게장이 지목됐다. 당시 실록에서는 이를 두고 “의가(의학계)에서도 매우 꺼리는 것”이라고 언급하며 독살설에 신빙성을 더하기도 했다.


21일 한국학중앙연구원에 따르면 최근 음식인문학자 주영하 한국학중앙연구원 교수가 펴낸 ‘조선 요리 비법: 장서각 소장 주식방문·음식방문이라·언문후생록 역주’는 한글 요리서 고전 3종의 지혜가 모두 담겼다. 640쪽에 달하는 분량으로 펴낸 책에는 주식방문 등 고전 3종의 내용들이 총망라됐다.



/사진 제공= 한국학중앙연구원


음식을 문화·인문학·역사학의 관점에서 연구해 온 주 교수를 중심으로 각 분야 학자 10명이 참여해 장서각 소장 자료를 분석하고 해석했다. 주영하 교수는 “조선시대 요리책을 연구할 때 필요한 것은 ‘책의 문화사’라는 시선"이라며 “역주서가 국어학, 음식학, 생활사 연구에 이바지하리라 확신한다”고 밝혔다.


주 교수는 책 앞부분에 쓴 해제에서 이들 한글 요리서 3종의 특징과 구성, 다른 기관이 소장한 자료와 차이점 등을 분석한다. 요리법 항목이 몇 가지인지도 설명한다. 예를 들어 장서각이 소장한 ‘주식방문’에 음식 이름이나 요리법 재료 등이 적힌 항목은 총 114가지이며, 이 중에는 병과(餠菓·떡과 과자)류가 35가지로 가장 많다.


마이크로필름 형태로 보관 중인 ‘음식방문이라’ 내용을 살펴보면 요리법과 음식을 먹을 때 조심해야 할 일 등 110가지, 의료와 가옥 관련 내용 12가지가 담겨 있다. 대표적으로 밤을 구울 때 타지 않게 하는 방법에 대한 선조들의 고민도 담겼다. 책에는 “밤을 구울 때 그중 하나를 남이 모르게 손에 쥐어 감추고 구우면 모든 밤이 타지 않는다”며 “구우려는 밤마다 눈썹 위에 세 번씩 문질러 구우면 타지 않는다”고 조언해 웃음을 자아냈다.


‘언문후생록’은 조선 후기 음식사를 연구하는 데 있어 중요한 자료로 여겨진다. 음식마다 따라다니는 미신도 흥미로운 요소다. ‘낙지를 먹으면 시험에 낙제한다’ ‘게(蟹)를 먹으면 시험에 떨어져[解] 고향으로 가야 한다’ 등 속설들도 당시 선조들에게는 설득력 있는 이야기로 받아들여졌다. 한국학중앙연구원 측은 "19세기 이후 필사된 것으로 추정되는 한글 요리서는 조선시대와 대한제국의 음식문화가 시대적 상황 속에서 어떻게 변화해 갔는지를 알려주는 귀중한 자료"라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