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롭게 취임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1·2차관과 과학기술혁신본부장(차관급)이 선도형 연구·개발(R&D) 전환과 인재 육성, 인공지능(AI) 등 기술 융합을 통한 디지털 전환을 강조했다.
이창윤 과기정통부 신임 1차관은 26일 취임사를 통해 선도형 R&D 시스템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창윤 1차관은 "세계 최초, 최고에 도전하는 R&D와 그 성과가 경제·사회적으로 파급돼 우리 국민이 체감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며 "관성적으로 해오던 낡은 방식의 과학기술 정책과 지원제도에서 탈피해 선도형 R&D 시스템으로 혁신해야만 한다"고 말했다.
이 차관은 올해 R&D 예산 삭감에 대해선 현장과의 적극적인 소통으로 보완해 나겠다는 뜻을 밝혔다. 그는 "지난해 정부는 추격형에서 선도형 R&D로 전환하기 위해 R&D예산의 구조조정이라는 어려운 결정을 했다"면서 "현장의 목소리에 더 귀를 기울이면서 정부의 정책 방향을 설명드리는 것은 물론 연구자와 함께 논의하며 현장의 어려움을 진단하고, 보완할 수 있도록 소통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또 이 차관은 R&D 인재 육성 필요성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그는 "과학기술인에 대한 아낌 없는 지원으로 인재들이 이공계로 진입하고, 과학기술인으로 성장하면서 보람과 성취를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유인책과 사기진작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며 "젊은 과학도들이 글로벌 리더 과학기술인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뒷받침함과 동시에, 세계와 경쟁할 수 있는 연구지원 시스템을 구축해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강도현 신임 2차관은 취임사에서 '디지털 대한민국 전환'을 여러 차례 언급했다. 가장 강 차관이 주목하는 분야는 인공지능(AI)이다. 그는 "AI 분야는 AI·반도체로 대표되는 하드웨어와 생성형 AI로 대표되는 소프트웨어 경쟁력이 상호 유기적으로 연계돼 성장할 수 있도록 튼튼한 생태계를 만들어 나가겠다"라고 말했다.
또 생성형 AI를 통한 디지털 전환과 혁신의 가속화에 대해서도 강조했다. 강 차관은 "생성형 AI가 국내에 성공적으로 적용될 경우 연간 300조 원 이상의 경제적 파급효과가 예상된다"면서 "AI를 중심으로 한 디지털 전환의 가속화는 세계적인 경기침체 상황에서 우리나라 경제 성장의 돌파구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통신 분야의 혁신에 대해서도 설명했다. 강 차관은 "통신 분야는 철저히 국민의 눈높이에 맞추어 과감한 혁신을 지속 추진하겠다"라면서 "특히 통신 시장 경쟁촉진과 신규 사업자의 시장 안착에 주력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미래 지향적인 주파수 공급을 통해 신산업·신시장에 활력을 제고하고, 6G·위성통신 시대도 준비하는 등 미래를 준비겠다"고 덧붙였다.
류광준 신임 과학기술혁신본부장은 선도형 R&D 시스템은 물론 긴 안목의 R&D 투자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류 혁신본부장은 "과거의 추격형 R&D 시스템으로는 점점 더 빨라지는 과학기술의 성장 속도와 우리 과학기술인들의 무한한 상상력을 담아낼 수 없다"며 "대한민국의 미래를 위해 선도형 R&D 시스템으로 전환하는 혁신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소규모 파편화 R&D 사업을 통합해 규모 있는 R&D 사업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예비타당성 제도를 개선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단기현안에 매몰된 R&D가 아니라, 정부 R&D 본연의 역할인 기초·원천연구와 차세대 기술에 긴 안목으로 투자하겠다"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