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주환원율 등 밸류업 이행 지표 공시…기업 참여 유인해야"

['저평가 해소 방안' 전문가 진단]
"해외투자자, 정책발표 자체에 의미"
강제성보다는 기업 자율이행 강조
"밸류업 B-학점…시장 인내심 없어"
확실한 인센티브 포함 안돼 아쉬움도


정부가 공개한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에 대해 자본시장 전문가들의 반응은 나뉘었다. 주주 환원을 강조하며 내놓은 첫 번째 정책인 만큼 시도 자체에 의미가 있다고 해석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지나치게 자율성에 초점이 맞춰져 있어 실제 실효성 여부에 우려를 나타내는 목소리도 나왔다. 다만 밸류업 프로그램 자체가 중장기 프로젝트인 만큼 앞으로 제도 보완에 심혈을 기울여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황찬영 맥쿼리증권 대표는 26일 “밸류업 프로그램에 대해 시장 참여자들의 기대감에 차이가 있었던 것 같다”며 “해외 투자가들의 경우 한국 정부가 배당에 대해 부정적인 인식을 갖고 있다는 편견이 오랫동안 심어져 있어 이번 발표 자체에 상당히 놀라워하고 있다”고 전했다. 일부 과도한 기대를 했던 시장 참여자들에게는 아쉬운 내용일 수 있지만 실제 정책을 발표했다는 사실 자체가 시장에 큰 반향을 줬다는 얘기다. 황 대표는 “정부가 강제성을 두게 되면 시장에 적극 개입한다는 인상을 줄 수 있어 좋지 않다”며 “기업들의 자율성이 맡긴 것이 맞는 방향이라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황 대표는 이날 밸류업 프로그램에 대한 실망감으로 유가증권시장에서 저(低)주가순자산비율(PBR) 업종이 하락세를 보인 것과 관련해서도 “그동안 크게 올랐던 것을 감안하면 하락 폭이 크다고 할 수는 없다”며 “정부가 밸류업 프로그램 발표에서 끝나는 게 아니라 배당소득 분리과세, 자사주 소각 시 법인세 감면과 같은 세법 개정으로 뒷받침해주면 실효성을 더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기업들을 상대로 적극적인 주주 행동을 펼치고 있는 이창환 얼라인파트너스자산운용 대표 역시 “필요한 내용은 다 들어갔다”며 긍정적인 반응을 내놓았다. 이 대표는 “기업들의 자본비용과 자본 수익성, 지배구조와 같은 주주 환원과 관련한 주요 개념들을 명확히 언급했다는 것 자체에 의미가 있다고 생각한다”며 “지원 방안에 이사회의 책임 있는 역할을 명시돼 있고 투자자와의 소통 등 중요한 내용들은 다 반영했다”고 말했다. ‘지나치게 기업 자율에 맡겨 실효성이 떨어질 수 있다’는 일부 우려에 대해 이 대표는 “자율이기는 하지만 거래소 홈페이지에 밸류업 지원 방안 이행 현황을 공시하도록 한 만큼 기업들이 관련 계획들을 마련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반면 좀 더 강력한 유인책과 페널티 조항이 없는 게 아쉽다는 의견도 있었다. 익명을 요구한 한 자본시장 전문가는 “'소문난 잔치에 먹을 것 없다'더니 이번 정책이 바로 그 경우”라며 “최소한 자사주 의무 소각 정도는 정책에 포함했어야 했다”고 꼬집었다. 또 다른 행동주의 펀드로 잘 알려진 김민국 VIP자산운용 대표는 “기업 입장에서 배당은 당장이 현금이 나가는 문제인데 배당 확대를 했을 때 세제 혜택이나 하지 않았을 때 받는 페널티 모두 모호한 측면이 있다”며 “3년 평균 주주 환원율을 바탕으로 밸류업 정책을 잘 이행하는 기업과 그렇지 않은 기업의 점수를 매겨 공시하는 등 좀 더 분명한 지표로 기업들을 유인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밸류업 프로그램이 예상보다 강제성이 낮은 수준으로 발표되자 그동안 기대감에 급등했던 저PBR 종목들은 충격이 불가피하다는 전망도 나왔다. 이경민 대신증권(003540) 투자전략팀장은 “시장의 기대감과 실제 지원 방안의 간극이 생각했던 것보다 훨씬 크다”며 “그동안 기대감에 올랐던 저PBR주에 후폭풍이 있을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조준기 SK증권(001510) 연구원은 “정부가 내놓은 정책들이 실제 기업의 행동으로 연결된다면 주가는 다시 강하게 반등할 것”이라며 “그동안 주목받지 못했던 저PBR 기업들 중 수익 개선과 주주 환원에 적극적으로 나서는 곳을 주목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한국기업거버넌스포럼도 “이번 밸류업 지원 방안은 학점으로 치면 B-”라며 “(가이드라인이 6월에 제시된다는 점을 들어) 정답을 모두 아는데 6월은 너무 멀다. 시장 인내심이 많지는 않다”고 논평했다. 그러면서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 전 과정을 금융 수장들이 직접 꼼꼼히 챙겨달라”고 주문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