밸류업 거든 이복현 “국내 주식시장 저평가 대표 원인은 미흡한 주주환원”

연구기관장 간담회서 발언
주주환원 제고방안 적극 노력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28일 오전 서울 여의도 켄싱턴호텔에서 열린 연구기관장과의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28일 “배당 제도 개선 등 주주환원 제고방안은 물론이고 주주총회 내실화, 주주와 이사간 소통촉진 등 글로벌 스탠다드에 맞는 기업지배구조가 정착되도록 적극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이날 이 원장은 연구기관장 간담회를 열고 ‘2024년 금융산업의 새로운 트렌드’를 논의하는 자리에서 모두발언을 통해 이같이 밝혔다.


이 원장은 “국내 주식시장의 저평가를 유발하는 원인으로 다양한 요인들이 거론되지만 가장 대표적인 요인으로 국내 상장기업의 미흡한 주주환원 정책이 지목되고 있다”며 “실제 최근 10년 동안 주주환원율은 29%로 미국 등 주요 선진국에 미치지 못하는 수준”이라고 지적했다. 미국 주주환원율은 91%로 다른 선진국도 67% 수준을 기록 중이다.


이날 연구기관장들이 꼽은 2024년 금융산업의 새로운 트렌드 가운데 주주가치 분야에서는 주주 친화적인 자사주 정책, 배당 확대, 기업지배구조 개선 등이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특히 경영권 방어 수단 방지를 위한 자기주식 처분의 공정성 강화 조치도 필요하다고 했다.


신진영 자본시장연구원장은 “기업이 자사주를 경영권 방어 수단으로 악용해 주주 가치를 훼손하고 있다는 의견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기 때문에 기업의 자발적인 자사주 소각을 유도하고 자기주식 처분의 공정성 강화 조치가 필요하다”고 발언했다.


김원준 삼성글로벌리서치 소장은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으나 공적연금만으로는 노후 대비가 충분치 않기 때문에 퇴직연금 등 사적연금이 역할 확대와 세제혜택 등 정책적 지원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