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터리 장비 수주 신바람’ 씨아이에스, 전고체 소재 승부수

김동진 씨아이에스 대표 인터뷰
“기존 코터 설비 길이 절반 단축
글로벌 배터리 고객사 관심 증폭
전고체용 코터 장비 시제품도 개발
누적 수주잔고 1조원 넘어설 것”

김동진 씨아이에스 대표


최근 방문한 대구광역시 동구 봉무동 소재 씨아이에스(222080) 대구1공장에는 2차전지 장비로 가득 차 있었다. 전기차용 배터리 시장의 성장세가 주춤하고 있다는 소식이 무색해지는 순간이었다. 김동진 씨아이에스 대표는 서울경제신문과 만나 “올해 누적 수주잔고가 1조 원을 넘어설 예정”이라며 “배터리 고객사의 발주 문의가 많아 거절해야 할 지경”이라고 말했다.


씨아이에스는 배터리 내 양극·음극을 만드는 전극 공정에 필요한 각종 장비를 제조하는 중견 기업이다. 과거 일본이 선점하던 캘린더링(프레스) 장비를 2008년 최초로 국산화했다. 이 장비는 고온, 고압 환경에서도 1.5마이크로미터(㎛) 오차 범위 내로 전극 두께를 더 얇고 균일하게 압축한다.


김 대표는 “전극 공정 장비는 배터리 성능의 90%를 좌우하기 때문에 글로벌 배터리 업체들이 웬만하면 한국산을 쓰려고 한다”면서 “중국 장비는 가격이 더 저렴하지만 불량품을 만들어내는 비율이 높아 기술적으로는 크게 뒤처져 있다”고 밝혔다. 이어 “국내 장비 업체 중 품질 관리가 까다로운 일본까지 전극 공정 장비를 공급하는 기업은 씨아이에스가 유일하다”고 덧붙였다.


씨아이에스의 기술 혁신은 지난해 말 또 한번 입증됐다. 세계 최초로 레이저 기술을 접목한 하이브리드 코터 장비 개발에 성공하면서다. 코팅 공정에선 점성이 있는 상태의 소재를 일정한 두께로 기판에 바른 뒤 건조하는 과정을 거친다. 기존에는 열풍으로 오랜 시간 말렸는데 씨아이에스는 레이저 건조 기술을 접목해 생산 속도를 2배나 개선했다.


김 대표는 “길이가 100m 넘는 기존 코터 설비가 50m 수준으로 절반이나 단축되면서 생산 효율성을 높이려는 글로벌 배터리 고객사의 관심이 커지고 있다”면서 “하이브리드 코터는 2차전지 장비 시장의 게임 체인저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사진 설명




씨아이에스는 ‘꿈의 배터리’로 불리는 전고체 소재·장비 분야에도 도전장을 내밀었다. 전고체 배터리는 기존의 액체 전해질을 고체로 대체한 배터리로 화재 위험성은 낮추고 에너지 밀도는 높인 것이 특징이다. 씨아이에스는 전고체 배터리 소재·장비 개발 국책과제 총괄기관에 선정되는 등 개발에 속도를 내고 있다.


여기에 자회사 씨아이솔리드 흡수 합병을 통해 전고체 사업을 강화하기로 했다. 회사 측은 이번 합병을 통해 양사 경영 및 기술 분야에서의 인적, 물적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해 기술력을 높이고, 시장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씨아이에스는 합병 이후 양사에 분산돼 있던 전고체 전해질 생산 파일럿 제조라인을 합쳐 연구생산을 위한 준비에 돌입할 계획이다. 양사간 시너지 효과를 통해 시장에서의 입지를 확보하고, 전고체 배터리 제조장비 사업화 시점을 앞당겨 추가 매출처를 빠르게 확보한다는 전략이다.


김 대표는 “2027년부터 전고체 배터리 상용화를 목표로 하는 글로벌 기업들이 차세대 소재·장비에 대한 투자를 선제적으로 확대할 것”이라며 “이미 전고체용 코터 장비 시제품을 개발한 만큼 다른 경쟁 업체들보다 한발 앞서 있다”고 자평했다.




씨아이에스 대구 본사 전경. 사진제공=씨아이에스



실적은 급성장 중이다. 씨아이에스의 지난해 연결 기준 매출액은 3102억 원으로 전년 대비 95% 증가했고 영업이익은 389억 원으로 같은 기간 399%나 뛰었다. 영업이익률이 약 13%로 장비 회사 중에선 국내 최고 수준이다. 김 대표는 “지난해 신규 수주 실적이 6000억 원 정도인데 올해에는 그 이상일 것으로 예상한다”면서 “글로벌 전기차 시장이 위축되더라도 별다른 부정적인 영향을 받진 않는 셈”이라고 짚었다.


김 대표는 씨아이에스를 인수한 국내 종합 장비회사 에스에프에이(SFA)와의 시너지를 강화하는 데에도 주력하고 있다. 에스에프에이는 씨아이에스가 생산하지 않는 2차전지 조립·화성 장비를 제조한다. 김 대표는 “배터리 제조의 전 공정을 턴키 공급할 수 있는 솔루션을 구상 중”이라며 “글로벌 장비 시장을 선도하는 기업으로 도약하겠다”고 말을 맺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