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상목 "2%대 물가 위해 범부처 총력"…3·4월 농산물  할인 600억 투입

2월 소비자물가 3.1%…한달만에 3%대 복귀
“물가 하향 흐름 다소 주춤…상황 엄중히 인식”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6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물가관계장관회의에 참석해 2월 소비자 물가동향 및 대응 방안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연합뉴스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6일 “최근 물가 상황을 엄중히 받아들여 2%대 물가가 조속히 안착될 수 있도록 총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1월 당시 2.8%로 완화됐던 소비자물가가 2월에 다시 3.1%로 상승하자 각 부처에 물가관리를 당부한 것으로 풀이된다.


최 부총리는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물가관계장관회의를 열고 이같이 말했다. 최 부총리는 “2월 소비자물가가 국제유가 상승 및 농산물 가격 강세 등으로 3.1% 상승했다”며 “물가 하향 흐름이 다소 주춤하는 모습”이라고 분석했다. 실제로 2월 소비자물가 상승은 농산품이 주도한 것으로 나타났다. 과일·채소류 물가가 크게 반영되는 신선식품지수는 2월에 20.0% 상승했다. 2020년 9월 당시 20.2%를 기록한 이후 최대 상승폭이다. 신선과일로만 한정해서 살펴보면 상승률이 43.9%로 32년만에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정부는 이에 대응해 농산품 수급관리에 힘을 쏟겠다는 방침이다. 우선 4월까지 농축수산물 할인 지원에 600억 원을 투입해 소비자들의 체감 가격을 최대 50%까지 떨어트릴 계획이다. 이외에도 만다린, 두리안, 파인애플 주스 등 3개 수입과일에 대한 관세를 인하한다. 오렌지나 바나나와 같은 주요 과일 직수입도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그러면서 비상수급안전대책반을 가동해 품목별 동향을 하나하나 모니터링하겠다고 밝혔다.


이외에도 최 부총리는 석유류·서비스 물가에 대해서도 현장 점검을 강화해 물가 안정 분위기를 확산시키겠다고 강조했다. 최 부총리는 “석여류의 경우 불법·편승 인상이 없도록 매주 전국 주유소를 점검하고 있다”며 “학원비는 지방자치단체별로 교습비 조정 기준 위반시 엄정 조치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