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동안 직원을 구하기 어려웠던 기피 업종에 청년들이 대거 몰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금으로 지급되는 정부 청년지원금이 조기에 소진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일각에선 청년 빈곤 세태가 반영된 결과라는 분석도 나온다.
10일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이날 현재 ‘일자리채용 청년지원금’ 신청자는 약 1만 명으로 집계돼 올해 전체 목표 인원(2만 4800명)의 40%를 넘어섰다. 지난 1월 22일 신청 접수가 시작된 지 1개월여 만이다. 청년지원금 사업은 빈 일자리 업종 내 중소기업에 취업한 청년에게 최대 200만 원을 지원하는 제도다. 제조업, 음식점업, 농업, 수산업 등 구인이 어려운 기피 업종을 대상으로 정부가 청년 취업을 지원하고 있다.
우려는 이번 신청 결과가 청년 빈곤 세태를 반영했을 가능성이다. 청년 빈곤이 심각해지면서 지원금을 목적으로 기피 업종에 지원자가 대거 몰렸다는 것이다. 실제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이 최근 발표한 ‘청년 빈곤 실태와 자립 안전망 체계 구축방안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청년 400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에서 41.6%는 1년 간 아파도 병원을 가지 못했고, 이 가운데 33.7%는 ‘병원비가 아까워서’라고 답했다. 전체 생활비에서 ‘의료비용이 부담스럽다’고 답한 인원은 40%에 달했다.
반면, 최근 고용부의 청년 직접 지원금 규모는 감소 추세다. 고용부의 ‘청년일자리 창출지원’ 사업을 보면 2021년 1조 1121억 원이던 사업비는 이듬해 5427억 원으로 절반 수준으로 줄어든 뒤 올해도 6576억 원 수준에 그쳤다. 이 사업에 포함된 일자리채용 청년지원금도 청년 생계 지원을 주목적으로 올해만 한시적으로 실시하는 일회성 사업이다. 이에 따라 그동안 청년취업정책과 관련해 ‘현금 지원’ 보다 ‘일 경험 확대’가 효과적이라는 원칙을 내세운 고용부의 고민도 깊어질 수 밖에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