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이후 10년 가족간 갈등도 치부도 미화없이 담았다

세월호 참사 가족협의회 ‘520번의 금요일’ 펴내
여전히 참사는 진행형… 생명안전공원 건립 숙원



11일 서울 중구 재난피해자권리센터에서 열린 세월호 10주기 기록집 '520번의 금요일' 출간 기자간담회에서 김종기(가운데) 가족협의회 운영위원장이 발언하고 있다. 양 옆에는 유해정(왼쪽) 우리함께 센터장과 세월호 참사 희생자 고(故) 지상준군의 어머니 강지은씨가 이를 경청하고 있다. /연합뉴스


“어떤 가정은 한쪽 부모는 소송을 하고 한쪽 부모는 배·보상을 신청한 가정도 있었어요.” (세월호 참사 희생자 유가족 전명선씨)


“활동하는 부모님들과 활동하지 않는 부모님들 간에 감정이 많이 상했어요.” (활동가 김선우씨)


“요즘 들어 제일 부러운 게 초기에 우리가 싸울 때도 꾸준히 직장생활을 하신 분들이에요. … (중략) … 10년 동안 활동하면서 수입은 0원에 배·보상금만 계속 쓰고 있다 보니 마음이 복잡하죠.” (세월호 참사 희생자 유가족 김내근씨)



세월호 참사 이후 10년 간 세월호 유가족들이 진상 규명 활동을 하면서 부딪힌 현실적인 애로사항들을 가감 없이 풀어냈다. 세월호 참사 10주년을 앞두고 4.16 세월호 참사 진상규명 및 안전사회 건설을 위한 피해자 가족협의회(가족협의회)가 펴낸 공식 기록집 ‘520번의 금요일’을 통해서다. 책은 4·16세월호참사 작가기록단이 2022년 봄부터 2년여간 단원고 피해자 가족 62명과 시민 55명을 총 148회 인터뷰하고 참사 관련 기록을 검토하고 종합해 담아냈다.


11일 서울 중구 재난피해자권리센터 우리함께에서 진행된 기자간담회에는 세월호 유가족들과 이를 기록한 작가(활동가)들이 참여했다.


김종기 가족협의회 운영위원장(대표)은 “저희가 지내온 10년의 삶을 포장이나 미화 없이 담아내고 싶었기 때문에 가족 간의 갈등이나 치부 등도 마주했다”며 이 같이 밝혔다.


세월호 유가족들은 참사가 발생한 직후 ‘세월호 단원고 유가족대책위원회’를 꾸려 정부의 진상 규명과 세월호 특별법 제정에 앞장섰다. 2015년 1월 정부는 세월호피해지원법을 통해 그해 9월까지 피해자가 배·보상금과 위로지원금을 신청하도록 했다. 진상규명이 되지 않은 상태에서 정부가 배·보상금 대책부터 내놓자 가족들 사이에서는 균열이 발생한 건 자연스러운 수순이었다. 배·보상금과 위로지원금 지급 결정에 동의하면 더 이상의 이의 제기는 불가능했다. 이에 가족들은 배·보상을 신청하는 쪽과 이를 거부하고 국가배상소송을 통해 진상규명을 하겠다는 쪽으로 나뉘었다. 결과적으로 오랜 투쟁을 거쳐 국가배상소송을 진행한 이들이 더 많은 배·보상금을 받게 되면서 위화감이 불거지기도 했다. 고(故) 지상준군의 어머니인 강지은씨는 “입장마다 복잡하고 사정이 많았는데 언론에서 단순히 돈 문제로 치부하면서 아픈 상처를 겪었다”며 “세월호 유가족만의 문제가 아니라 다른 재난이나 참사가 벌어졌을 때 배·보상 문제로 겪을 수 있는 갈등들이 재발되지 않기를 바라는 마음에 가감없이 담게 됐다”고 전했다.



/연합뉴스


참사 이후만 해도 특별법 제정 활동에 참여하던 가족이 200곳이 넘었지만 10년이 지난 지금 다양한 활동에 참여하는 이들이 눈에 띄게 줄었다. 지난 달 기준 가족협의회 회원은 150여 가족으로 집계됐다. 김 위원장은 “우리도 똑같이 아이를 키우고 직장에 다니는 시민으로 조직을 꾸려본 적이나 가입해서 활동해 본 적도 없다”며 “매번 갈등이 있을 때마다 개개인들의 마음에 다 들지는 못하더라도 이 방향이 최선이겠다 싶은 방식으로 했다”고 말했다. 그는 “조직에 대해 아무 것도 모르는 부모들이 모여 이 정도까지 해왔다고 서로에게 칭찬해주고 싶다”고 덧붙였다.


아직도 해결되지 않은 숙원사업도 있다. 강씨는 “참사가 일어난 지 10년이 됐지만 아이들을 추모하고 애도할 수 있는 봉헌 시설(가칭 ‘생명안전공원’ 건립이 진전이 안 되고 있다”며 “지속적으로 시민 여러분들의 관심이 필요한 부분”이라고 강조했다.


10년 동안 유가족들과 함께 활동하는 유해정 재난피해자권리센터 우리함께 센터장은 “가족협의회의 활동 자체가 우리 사회의 재난 피해자에 대한 이해의 틀을 넓혔다”며 “지금도 이분들은 이태원 참사 피해자 유가족, 오송 참사 피해자 유가족들을 만나 먼저 손을 잡아주고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