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규직이 비정규직되면 위험한 이유…"자살생각 확률 2배 증가"

서울대 연구팀, 노동자 3621명 분석 논문 공개



사진 = 이미지투데이

정규직이었다가 비정규직으로 근무 조건이 전환된 노동자는 정규직을 유지한 노동자보다 자살 생각을 할 가능성이 2배 가량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서울대병원 소속 윤재홍 박사·서울대 보건대학원 김지환 박사(공동 1저자)와 서울대 보건대학원 김승섭 교수(교신저자)는 '고용상태의 변화가 자살사고와 우울증세에 미치는 인과적 영향' 논문을 통해 이 같은 결과를 공개했다고 12일 밝혔다.


연구팀은 한국복지패널 8차∼15차(2013∼2020년) 데이터에 나타난 19세 이상 임금노동자 3621명을 분석했다. 분석 대상자들은 패널에 등록됐을 시점에 모두 정규직이었으나 이 중 10.8%는 이듬해에 비정규직으로 근무 조건이 바뀌었다. 이런 고용형태 변화는 여성, 기혼자, 교육 수준이 낮은 사람, 서비스직군, 중소기업, 노동조합이 없는 직장 근로자, 만성질환자에서 더 많이 나타났다.


연구팀은 정규직을 1년 넘는 계약기간, 상근직, 직접고용(하청, 파견근로자, 자영업자 제외), 무기계약의 4가지 조건이 모두 갖춰진 근로 형태로 정의했다. 이 중 한 가지라도 충족하지 못하면 비정규직으로 봤다.


분석 대상자들의 자살 생각과 우울증은 '지난 1년간 자살로 사망하는 것에 관해 진지하게 생각해본 적이 있나요?' 등의 질문에 본인이 직접 응답하는 자기 보고식 설문조사를 통해 측정했다.


그 결과 정규직에서 비정규직으로 근로 조건이 바뀐 집단은 정규직을 유지한 집단보다 자살 생각을 할 확률이 2.07배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울증을 겪는 비율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규모로 높았다.


이 논문은 지난 11일 산업보건분야 국제학술지인 '스칸디나비안'에 게재됐다. 연구팀은 머신러닝 알고리즘을 활용해 고용형태 변화가 자살생각 등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연구팀은 주로 비즈니스 분야에서 기업의 수익 등을 연구하는 데 쓰이던 머신러닝 기술이 사회적 약자의 건강 문제를 탐구하는 데에 활용된 사례를 제공했다는 의미가 있다고 강조했다.


※ 우울감 등 말하기 어려운 고민이 있거나 주변에 이런 어려움을 겪는 가족·지인이 있을 경우 자살예방 상담전화 ☎1393, 정신건강 상담전화 ☎1577-0199, 희망의 전화 ☎129, 생명의 전화 ☎1588-9191, 청소년 전화 ☎1388, 청소년 모바일 상담 ‘다 들어줄 개’ 어플, 카카오톡 등에서 24시간 전문가의 상담을 받을 수 있습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