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봇기업 99%가 중기…"R&D·자금 지원 절실"

초기 투자 비용 부담 크고
부품 국산화율도 44% 그쳐
"단계별 육성책 마련 시급"

경남 창원시 LG전자 스마트파크에서 로봇 팔이 냉장고 문을 조립하고 있다. 사진 제공=LG전자

전통 제조업에 주로 쓰였던 로봇이 인공지능(AI)의 발전으로 서비스·의료·방산·우주까지 광범위하게 활용되자 미국과 일본·중국 등 주요국들이 로봇 산업에 대한 전략적 지원을 강화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로봇 기업의 99%가 매출 10억 원 이하의 중소기업에 그치면서 핵심 기술 확보에 뒤처지고 있다. 업체들은 자금 지원부터 사업화 지원까지 다각적인 정부의 육성책이 절실하다는 입장이다.


19일 한국로봇산업협회가 국내 로봇 제조·서비스 기업 2509개사를 대상으로 진행한 ‘로봇산업 실태조사’를 보면 업체들은 정부 지원이 필요한 애로 사항으로 저리자금 지원(54.3%)을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 연구개발 지원 확대(20.5%), 채용 장려금 지원(7.4%), 업체 간 연계(6.8%) 등이 뒤따랐다.


국내는 로봇 산업 부품 국산화율이 44%에 그치고 전기·전자나 자동차 업종 등에 제한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특히 서비스 로봇 시장 규모는 제조 로봇의 3분의 1로 이마저도 절반이 넘는 53%가 중국산으로 나타났다.


업체들은 기술 개발과 생산 설비 확충을 통해 자급률을 높여야 하지만 자금 조달에 있어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업체들은 기술 개발에서 가장 큰 어려움으로 ‘초기 투자 비용의 부담(33.6%)’을 꼽기도 했다. 로봇 업계의 한 관계자는 “전문 서비스용 로봇의 경우 제조용 로봇보다 기술 개발에 들어가는 비용이 훨씬 크다”며 “중국산과 경쟁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지원책이 절실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정부 지원 연구개발 사업도 늘려야 한다고 요구했다. 로봇산업 실태조사를 보면 로봇 업체의 18.5%인 450개사가 로봇 산업 연구개발 실적을 보유하고 있는데 이 중 자체 연구개발 실적(1253억 원)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자체 연구개발과 함께 정부 지원 연구개발이 더 많아져야 자금 상황에 얽매이지 않고 기술 개발이 가능하다는 주장이다.


로봇 업계의 또 다른 관계자는 “국내 로봇 업체들의 규모가 작은 만큼 기술 개발부터 판로 개척까지 전방위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K로봇의 근간이 될 중소업체부터 파이를 키울 수 있는 대기업 지원까지 정부의 뒷받침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