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한미일 정책금융기관 첫 공조무대로 印 낙점

■3국 금융협력체 출범
작년 공동진출 MOU 후속조치
현지 진출하는 ICT 기업 대상
투자금 수혈 등 후방지원 계획

윤희성(왼쪽부터) 수출입은행 행장과 스콧 네이선 DFC 대표, 다니모토 마사유키 JBIC 상무가 지난해 8월 미국 워싱턴 DC DFC 본사에서 ‘한미일 3국의 인프라 협력 확대를 위한 금융협력 MOU’에 서명한 뒤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 제공=수출입은행

한미일 정책금융기관이 첫 공동 진출 국가로 인도를 낙점했다. 3국 정부 금융기관들은 인도에 진출하는 정보통신기술(ICT) 기업에 투자 자금을 수혈하는 방식으로 후방 지원에 나설 계획이다.


25일 금융권에 따르면 수출입은행과 미국 국제금융개발공사(DFC), 일본 국제협력은행(JBIC)은 이달 초 일본 도쿄에서 고위급 간담회를 열고 공동 진출 국가로 인도를 선정했다. 지난해 한미일 정상회의 이후 체결한 제3국 공동 진출을 위한 금융협력 업무협약(MOU)의 후속 조치다. DFC와 JBIC는 대외 금융 지원을 담당하는 정책금융기관으로 우리나라의 수출입은행과 비슷한 업무를 맡고 있다.


3국의 정책금융기관들은 인도의 ICT 인프라 사업에 진출하는 기업에 금융 지원을 강화하기로 했다. 예를 들어 우리나라 기업이 미국·일본 업체와 함께 인도 정부가 발주한 ICT 인프라 사업 입찰에 참여할 경우 공동으로 금융참여의향서(LOI)를 발급해주는 식이다. 기업의 자금 조달 역량을 보증해 입찰 과정에서 다른 국가 기업보다 우위에 설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다.


3국 기관은 이 같은 금융협력 사업 목표를 확정하고 향후 회담에서 구체적인 협력 계획을 논의하기로 했다. 수은 관계자는 “지난해 3국 금융기관이 MOU를 체결한 이후 첫 만남에서 공동 지원 국가를 선정했다”며 “JBIC가 공동 진출 국가 후보지로 인도를 제안했고 수은과 DFC도 이에 동의했다”고 설명했다.


3국 기관이 인도를 첫 진출지로 꼽은 것은 전 세계 국가 중에서 가장 눈에 띄는 성장세를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국제통화기금(IMF)에 따르면 올해 인도의 성장률은 6.5%로 중국(4.6%)보다 높을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미국의 대중(對中) 견제가 이어지면서 글로벌 ICT 기업들이 중국을 비롯한 기존 주력 시장에서 발을 빼 인도 등 주변국으로 투자처를 옮기는 점도 고려됐다. 정부 관계자는 “과거 인도는 제조업 기반이 약하고 규제가 과도하다는 평가가 많았는데 상황이 달라졌다”면서 “인구가 중국을 넘어서 생산인구가 확보됐고 중산층도 늘면서 소비 여력도 커져 시장 위상이 높아졌다”고 설명했다.


한편 수은은 이날 반도체·2차전지 등 첨단전략산업에 투자할 1조 원 규모의 펀드를 조성한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1500억 원을 출자할 계획이다. 수은은 지난해에도 첨단전략산업 지원을 위해 1조 원 규모의 펀드를 마련한 바 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