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반도체 훈풍’에만 기대지 말고 신성장동력 키워 수출 기반 넓혀라

인공지능(AI) 시장의 급속한 팽창으로 ‘반도체 훈풍’이 불고 있다. 지난해 최악의 불황을 겪은 반도체 경기가 살아난 덕에 삼성전자의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은 1년 사이 10배 가까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SK하이닉스도 이달 중 예상을 뛰어넘는 실적을 공개할 가능성이 크다. AI 일상화가 불러온 반도체 호황이 과거 스마트폰 대중화, 초고속 인터넷망 보급 때와 같은 ‘반도체 슈퍼 사이클(장기 호황)’로 이어질 것이라는 기대가 높아지고 있다. 반도체가 전체 수출의 20%가량을 차지하는 우리 경제에는 반가운 소식이다.


하지만 ‘반도체의 봄’ 기운에 취해 다른 주요 수출 산업에서 나타나는 이상기류를 놓쳐서는 안 된다. 전기차 수요 둔화와 중국과의 경쟁 격화로 인해 첨단전략산업인 2차전지는 부진의 늪으로 빠지고 있다. 국내 1위 LG에너지솔루션의 1분기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75.2%나 줄었다. 미국 인플레이션감축법(IRA)에 따른 지원금을 제외하면 사실상 적자로 돌아선 셈이다. 주력 수출 산업인 석유화학은 중국의 저가 공세에 밀려 지난해 수출액이 전년 대비 15.9% 급감한 데 이어 올해도 마이너스 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2차전지와 석유화학의 업황 부진에 관련 핵심 소재인 리튬·나프타를 비롯한 원자재 및 중간재 수입은 올 1~2월에 15%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반도체 호황 사이클에 기댄 수출 호조에만 만족한다면 우리 경제는 ‘천수답’ 구조에서 벗어날 수 없다. 반도체 ‘외날개’만으로는 우리 경제와 수출 동력을 계속 살려나가기 어렵다. 지속적인 수출 개선과 경제성장을 위해서는 최대 수출 전략산업인 반도체 분야에 대해 전방위 지원을 하는 동시에 ‘제2·제3의 반도체’가 될 수 있는 주력 수출 품목을 다양화해야 한다. 그러려면 정부가 ‘게임체인저’ 기술로 꼽은 AI·바이오·양자를 비롯해 차세대 원자력, 우주항공·해양, 첨단 로봇, 차세대 통신 등 국가전략기술 분야에서 글로벌 경쟁력을 키워 미래 수출 기반을 넓혀가야 한다. 특히 생성형 AI, 우주 기술 등 첨단 분야에서 한국을 앞지른 중국과의 격차를 더 이상 허용하지 말고 곧바로 추격하고 추월해야 한다. 민관정이 원팀으로 초격차 기술 개발과 우수 인재 육성에 속도를 내서 신성장 동력을 점화해야 경제 재도약을 이룰 수 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