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금감원, 오늘 증권사 소집해 '부동산 PF 구조조정' 논의

9개 종투사 활성화 방안 등 리스크 점검
부동산 PF 신규 공급 등 인센티브 제안
증권사, 부동산 PF로 순이익 20% 감소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지난 2월 오전 서울 여의도 금융감독원에서 열린 2024년도 금융감독원 업무계획 기자 간담회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구조조정과 활성화 방안을 두고 전 금융권 면담에 나선 금융감독원이 이번에는 부실 우려를 가장 크게 받았던 증권사와도 간담회를 가졌다. 금감원은 이 자리에서 부동산 PF 관련 증권 업계의 추가 손실 방지 방안과 사업 신규 공급을 위한 인센티브 제공 방편을 집중적으로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9일 금융투자 업계에 따르면 금감원은 이날 오전 10시 9개 증권사 최고위험관리책임자(CRO)와 PF사업부 본부장 등과 함께 비공개 간담회를 열었다. 소집 대상이 된 증권사는 미래에셋증권, 한국투자증권, NH투자증권 등 자기자본 3조 원 이상의 종합금융투자사(종투사) 9곳이다.


금융투자 업계의 한 관계자는 “증권사들이 부동산 PF로 지난해부터 많은 손실을 보면서 시장이 위축됐다”며 “추가 손실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를 점검하는 등 업계의 의견을 수렴하는 자리”라고 말했다.


금감원이 이날 증권사들과 부동산 PF를 점검한 것은 사업 정상화를 위한 ‘옥석 가리기’가 필요하다고 봤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금융권에 따르면 금감원은 지난 8일부터 시중은행, 제2금융권, 보험업권 등과 만나 PF 사업장 현황 파악, 경·공매 활성화 논의를 시작했다. 이날 전까지 증권사와의 면담 계획은 따로 알려진 바가 없었다.


금감원은 이달 금융권 면담이 끝나는대로 PF 정상화와 관련한 사업성 평가 기준과 대주단 협약 개정안 등을 발표하고 3분기부터 실행할 방침이다. 사업성이 낮은 PF 사업장은 재구조화를 통해 정상화가 가능하다는 설명이다. 이복현 금감원장은 지난 2월 “부동산 PF에 과도하게 투자된 금융 자금이 묶이면서 소위 ‘돈맥경화’가 나타나고 있다”며 “PF 사업성을 엄정히 평가할 수 있도록 평가 기준을 개정하고 있는 만큼 PF 사업장 재구조화 모범 사례들이 나올 것”이라고 말했다.


증권사의 지난해 부동산 PF 연체율은 13.73%로 2020년 말 3.37% 대비 큰 폭으로 증가했다. 작년 말 79개 저축은행의 부동산 PF 평균 연체율은 6.55%로 증권사의 연체율은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이다. 부동산 PF 연체율은 연체 금액을 대출채권으로 나눈 값이다. 인플레이션으로 원자재 및 인건비가 상승하면 부동산 건축이 중단될 수 있다. 이 경우 채무자가 증권사나 금융권에 이자를 지급하지 않을 때 연체율이 증가하게 된다.


금감원 관계자는 “부동산 PF 정상화 과정에서 여러 현장 이야기를 듣는 것”이라며 “남아있는 위험 요소를 점검하고 부동산 PF 시장 활성화를 위한 정책을 마련하기 위한 취지”라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