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전성 관리에도…캐피털 신규연체 한 분기만에 두 배 늘었다

52개 캐피털사 연체액 1년새 1조 급증
작년말 연체율 1.67%…전년比 0.55%P↑
신규연체 5000억…전분기 대비 두배 '껑충'



국내 캐피털사의 대출 채권 연체액이 1년 사이 1조 원 이상 크게 늘었다. 특히 캐피털사의 건전성 관리 노력에도 불구하고 신규 연체액이 1분기 만에 두 배나 급증하는 등 차주 상황이 크게 나빠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금융감독원 금융통계정보시스템에 따르면 할부금융사·리스사 52곳의 지난해 말 연체 채권 비율(총 대출 채권 대비 1개월 이상 연체액 비율)은 평균 1.67%를 기록했다. 전년 말(1.12%) 대비 0.55%포인트 상승했다. 같은 기간 연체액 역시 1조 9658억 원에서 3조 306억 원으로 1조 685억 원(54.2%)이나 늘어났다.


연체율은 연 단위로는 상승폭이 커졌으나 분기 단위로는 내림세로 전환했다. 52개 캐피털사들의 연체율은 1.67%로 전년(1.12%)보다 0.55%포인트 올랐다. 2022년 기록했던 전년 대비 상승 폭(0.32%포인트)보다는 높지만 직전 분기인 지난해 3분기 말(1.73%)보다는 오히려 0.06%포인트 낮은 수치다. 이는 캐피털사들이 연체율 관리에 나선 영향으로 풀이된다. 캐피털사들은 작년 하반기부터 대손충당금을 쌓고 이미 3개월 이상 연체해 부실로 분류됐거나 부실 우려(1~3개월 연체)가 있는 채권들을 대거 매각 또는 상각(손실) 처리해왔다. 실제로 52개 캐피털사의 지난해 대출 채권 매매이익은 전년(약 1400억 원)보다 2배 이상 늘어난 3000억 원에 달했다.



사진 설명

캐피털 업계에서는 주목하는 부분은 신규 연체액 급증이다. 지난해 4분기 말 기준 1개월 미만(신규) 연체액은 5104억 원으로 전 분기(2817억 원)보다 81%나 늘었다. 이에 따라 하루라도 연체한 채권 총액(3조 5410억 원)에서 차지하는 신규 연체액 비중은 3분기(8.17%)보다 6.24%포인트나 늘어난 14.41%를 기록했다. 캐피털사들이 건전성 관리를 위해 부실채권을 팔아치우는 등 안간힘을 쓰고 있지만 실제 차주들의 상황은 더 악화되고 있는 셈이다. 한 캐피털사 관계자는 “1개월 미만 연체는 실수로 이자를 상환하지 못한 경우 등이 있어 당장 내일이라도 갚을 수 있는 만큼 연체 채권으로 분류하지 않는다”며 “하지만 신규 연체가 대규모로 발생한 것은 더 많은 차주들이 한계 상황에 놓여 있음을 의미하는 만큼 우려해야 하는 부분”이라고 말했다.


더 큰 문제는 신규 연체가 증가할 경우 부실채권 매각에도 속도를 내야 하는데 시장에서 이를 소화하지 못할 경우 건전성 문제가 심화할 수 있다는 점이다. 한 캐피털사 최고경영자는 “지난해 말부터 부실채권과 부실 가능성이 높은 채권을 시장에 매각하기 시작했다”며 “하반기로 갈수록 매각하려는 채권은 더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는데 시장에서 이를 받아주지 못한다면 중소 캐피털사들의 건전성 문제가 다시 부각될 가능성이 있다”고 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