끝나지 않은 '文추경' 여파…내년 국채 만기 100조 넘어

올해 만기 85조보다 18.7% 증가
세수 부족 우려…국채운용 부담커



내년 국고채 만기 도래 물량이 100조 원을 훌쩍 넘겨 사상 최대인 것으로 집계됐다. 만기 물량이 100조 원을 넘어선 것은 처음이다. 코로나19와 문재인 정부의 확장재정 기조에 따라 5년간 열 번의 추가경정예산안이 편성된 데 따른 여진이 계속되는 셈이다. 그나마 현 정부가 재정 건전성을 강조하면서 국고채 발행량을 축소해 2026년부터는 만기 도래 물량이 점차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16일 기획재정부가 발행한 ‘2023년도 국채백서’에 따르면 내년 국고채 만기 도래 물량은 101조 7631억 원으로 올해 만기 도래액 85조 7410억 원 대비 18.7%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임 정부의 확장재정 정책으로 국고채 발행 자체가 늘었고, 특히 국고채 2·3년물 등의 단기물 발행이 집중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국고채 잔존 만기 구조를 보면 1년 초과~3년물 규모는 전임 정부 초반인 2018년 113조 5150억 원에서 2022년에는 170조 241억 원으로 56조 원 남짓 늘었다. 같은 기간 1년 이하 국고채 역시 35조 4030억 원에서 85조 9604억 원으로 50조 5574억 원이 증가했다. 지난해에는 3년물 발행이 29조 5000억 원에 그쳤지만 2년물은 2022년 15조 2000억 원에서 18조 1000억 원으로 증가했다. 그 결과 2·3년물은 지난해 전체 국고채 잔액 비중의 28.6%를 차지했다. 국고채 발행 잔액 가운데 가장 비중이 높은 30년물이 28.5%라는 점에서 단기물의 급증은 눈에 띌 정도다.


문제는 만기가 특정 시점에 몰리면서 정부의 국고채 운용에 부담이 커진다는 점이다. 국고채는 국회에서 허용한 한도 내에서 발행할 수 있는데 만기 도래 국고채를 차환하기 위해 국고채를 발행하면 그만큼 신규 재원으로서 국고채를 활용할 수 있는 폭이 좁아질 수 있다. 가뜩이나 세수 부족 우려가 계속되는 상황에서 신규 재원으로 끌어다 쓸 수 있는 국고채가 줄어들 경우 재정의 역할도 축소될 수밖에 없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