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의 창] 기업 입장에서 바라본 밸류업

■안상희 대신경제연구소 지속가능센터장

안상희 대신경제연구소 지속가능센터장

국내 상장 기업의 정기주주총회가 끝난 지 약 1개월이 지나가고 있다. 금년 주총에서 나타난 여러 유형의 거버넌스 이슈가 있었지만, 향후 상장사 입장에서는 후술할 두 가지 이슈에 대한 선제적 준비가 필요한 듯 하다.


밸류업 프로그램은 총선 영향으로 추진동력이 다소 떨어지지 않겠냐는 전망도 있으나, 여전히 거버넌스 관련 상법 개정안이라는 큰 이슈이기 때문에 기업의 적절한 대응전략을 간단히 살펴 보자.


최근 정부는 자본시장이 효율적이지 못한 배경을 ‘코리아 디스카운트’로 꼽았다. 이를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밸류업 프로그램 로드맵을 발표했고, 특히 국가별 주가순자산비율(PBR)은 선진국 평균이 3.1배, 일본 1.4배, 대만 2.4배, 인도 3.7배인데 반해 한국은 1.0배로 상대적으로 저평가 받고 있다는 것이다.


다만 상장기업에서는 밸류업 프로그램의 구체적인 가이드라인이 5월 중에 발표가 되더라도 얼마나 구체적 내용을 담고 있을지에 대한 우려는 여전히 남아 있는 듯 하다. 구체적인 가이드라인이 발표되기 전이지만 기업의 이사회 운영의 고도화를 위한 사전 준비가 필요해 보인다. 이는 거버넌스 관련 상법 개정안에 대한 기업 측 방어 논리의 일환으로 준비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최근 여소야대의 총선 이후 이사의 충실 의무, 전자주주총회 등 투자자의 적극적인 주주권 행사가 활발해 질 수 있는 제도적 환경 구축이 더 강화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주주행동주의 펀드와 함께 주주권 행사 관련한 플랫폼의 등장 등은 이런 환경을 더 강화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대부분의 상장기업이 아직까지는 이사회 평가에 대해 상당히 보수적인 입장을 보이고 있으며, 일부 상장회사(금융지주) 중심으로 이사회 평가가 진행되지만 자가 평가 위주로 진행되는 점과 이사회의 정량적 평가결과도 변별력이 거의 미미한 수준인 것으로 판단된다.


또 이사회 구성의 주축을 이루고 있는 사외이사 후보자에 대한 선정 및 검증에 대한 객관적인 프로세스 구축을 위한 사전 준비가 필요해 보인다. 즉 향후 거버넌스 관련 상법 개정안에 대한 기업의 대응 수준이 제한적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기업 측의 이런 사전 준비가 기업 자체의 중장기적인 거버넌스 체계 구축을 위한 마일스톤으로 평가받을 것으로 판단된다.


참고로 올해 주요 상장기업의 정기주주총회 결과보고서에 따르면, 금년 정기주총에서 적극적인 주주권을 행사하는 주주제안은 총 52건으로 여전히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 특히 올 주주제안은 배당, 정관변경, 임원선임 등이 전체 중 80% 이상(42건)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상황을 고려하면, 내년 정기주주총회에서도 적극적인 주주권 행사는 더 활발해 질 것으로 예상된다.


밸류업 프로그램에 대한 기업의 대응은 거버넌스 체계 구축(이사회운용 및 사외이사 후보자 제공·검증 등 후보자 관리)과 지속가능한 밸류업 프로그램의 완성을 위해서는 주주환원정책 이외 ESG(환경·사회·지배구조)를 고려한 종합적인 체계 구축이 필요해 보인다. 특히 최근 유럽을 중심으로 강화되는 기후공시 등 관련 정책을 대응할 수 있는 유기적 결합을 통한 계획 수립도 적절하다는 생각이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