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 증가에 낙수효과…민간이 성장 주도 속 '3高'는 불안요인

[1분기 1.3% 깜짝 성장]
◆ 전망치 두배 훌쩍 넘긴 성장률
의류·숙박 등 소비 0.8% 늘어
갤S24 출시·관광객 증가도 영향
대통령실 "민간, 전체 성장률 기여"
한은 등 올 2%대 중반으로 높일듯

신승철(왼쪽 두 번째) 한국은행 경제통제국장이 25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올해 1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과 관련해 설명하고 있다. 사진제공=한은



1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의 ‘깜짝 성장’ 덕분에 올해 경제성장률이 2%대 중반까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다만 고물가와 고금리, 고환율 등 ‘3고(高) 현상’이 2분기 이후 실물경제에 어떠한 영향을 줄지가 변수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된다. 정치권에서 제기한 13조 원 이상의 추경안은 GDP 성장률 기여도가 높지 않고 물가를 자극할 우려가 클 것으로 보인다.


한국은행이 25일 발표한 1분기 GDP 성장률에 따르면 내수 회복세가 두드러진 것으로 나타났다. 1분기 민간소비는 0.8% 성장으로 집계됐는데 이는 2022년 3분기(1.6%) 이후 가장 높은 수치다. 민간소비는 지난해 1분기에 0.6% 성장한 이후 2분기(-0.1%), 3분기(0.3%), 4분기(0.2%) 등 줄곧 부진한 모습이었다. 1분기 민간소비는 의류 등 재화와 음식·숙박 등 서비스가 모두 늘어난 것이 특징이다. 1월 삼성전자의 스마트폰 ‘갤럭시 S24’ 시리즈가 출시돼 인기를 끈 데다 온난한 기후 영향으로 전국 지방자치단체의 축제·행사 등에 최다 인원이 몰리며 소비가 늘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반도체를 중심으로 한 수출 확대가 소비 증가로 이어지는 낙수 효과가 나타나고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신승철 한은 경제통계국장은 “소비심리 회복에 대외 활동이 늘어난 데다 휴대폰 신제품 출시 등의 영향을 받았다”고 설명했다.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위기 속 기저 효과에 1분기 건설투자가 2.7% 성장한 것도 도움이 됐다. 외국인 관광객 증가와 정부 소비가 0.7% 증가한 것도 GDP 성장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신 국장은 “양호한 기상 여건과 일부 사업장의 마무리 공사 진행 등 건설기성이 늘었다”고 설명했다.


설비투자는 운송 장비 둔화에 -0.8%를 기록했지만 이를 빼면 상황이 나쁘지 않다. 업종별로는 건설업(4.8%)의 성장률이 가장 높았고 전기·가스·수도 사업(1.8%), 제조업(1.2%) 순이었다. 성태윤 대통령실 정책실장은 “올해 1분기 성장률은 전년 같은 기간보다 3.4% 성장해 코로나 기간(2020~2021년)을 제외하면 4년 6개월 만에 가장 높았다”며 “재정 주도가 아니라 민간이 전체 성장률에 온전히 기여했다는 점에서 민간 주도 성장”이라고 평가했다. 실제로 1분기 실질 국내총소득(GDI) 증가율은 2.5%로 실질 GDP 성장률(1.3%)을 웃돌았다.


1분기 깜짝 성장세를 바탕으로 올해 경제성장률의 상향 조정도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한국은행은 2월 경제전망에서 한국의 경제성장률이 상반기 2.2%, 하반기 2%를 기록할 것으로 내다봤다. 신 국장은 “지금은 경기 회복세가 뚜렷한 것으로 보인다”며 “다음 달 23일 발표할 수정 경제전망에 1분기의 양호한 실적치가 반영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기획재정부 역시 정부 측 연간 성장 전망치(2.2%)를 상향 조정할 것으로 전망된다. 윤인대 기재부 경제정책국장은 “1분기 성장률이 예상보다 좋았기 때문에 상향될 가능성이 꽤 높다”며 “(연간으로) 2.3% 이상으로 오르지 않을까 싶다”고 전망했다.


변수는 대외 요인이다. 미국의 양호한 경제지표로 인해 통화정책 전환(피벗)이 늦춰질 것으로 전망되는 데다 중동 지역의 정세 불안 여파가 실물경제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달 들어 원·달러 환율은 1400원을 터치한 뒤 외환 당국의 구두 개입 이후 다소 진정된 바 있다. 유가 역시 이스라엘·이란의 분쟁이 확전 양상으로 흘러갈 경우 배럴당 100달러를 넘어설 가능성이 제기된다. 김진일 고려대 경제학과 교수는 “원·달러 환율이 1300원 후반대로 여전히 높은 상황이며 유가 불안도 이어지고 있다”며 “1분기 성장률에 기저 효과와 반도체 수출 증대 영향이 작용했는데 환율·유가가 계속 불안하면 GDP 성장에 부정적 요인이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정치권의 추경 움직임도 악재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 야당은 국민 1인당 25만 원가량의 민생회복지원금 지급 등을 주장하며 13조 원 이상의 추경을 요구하고 있다. 고물가와 고유가가 작용하는 상황에서 대규모의 돈이 시중에 풀리면 물가는 더욱 상승할 가능성이 높다는 지적이다. 안동현 서울대 경제학부 교수는 “취약 계층을 대상으로 자금을 지원하는 것은 효과가 있지만 모든 국민에게 돈을 지급할 경우 부작용이 크다”며 “돈을 풀었을 때 승수효과를 고려하면 GDP 기여도가 높지도 않다”고 설명했다. 대통령실 역시 “내수를 자극하는 정책을 하면 물가 압력을 높일 수 있는 부분이 있다”고 우려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