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 관광’으로 태권도원 300만 방문객 시대 가능할까 [최수문 기자의 트래블로그]

무주 태권도원 전경. 최수문 기자

전북특별자치도 무주군 설천면 백운산 자락에는 ‘태권도원’이 있다. 태권도원은 태권도 전용 경기장을 포함해 박물관, 체험시설, 연수원 등의 복합시설이다.


태권도원의 자체 소개로는 “태권도 모국의 자부심으로 세워졌으며 올림픽 단일종목으로는 최초로 경기, 체험, 수련, 교육, 연구, 교류 등 태권도에 관련된 모든 것이 가능한 세계 유일의 태권도 전문공간”이고 “또한 전 세계인이 태권도를 통해 한국을 느끼고 한국의 얼에 감동받을 수 있는 우리 시대의 살아있는 세계문화유산”이라고 한다.


그런 태권도원이 최근 개원 10년을 맞았다. 10년이면 강산도 변한다는 옛말 그대로 우리나라 태권도는 눈부신 발전을 했을까, 아니면 왜 그런 (서울 등 주요 대도시에서) 먼 곳에 태권도원을 세웠냐는 불만의 소리가 여전할까. 태권도원은 외따로 떨어져 있고 교통이 불편한 것이 최대의 약점이다. 태권도 관련자가 아닌 일반 사람들은 찾아볼 동기가 부족하다는 것이다.


지난달 29일 무주 태권도원에서는 ‘10년의 준비서기, 100년의 도약’이라는 주제로 태권도원의 개원 10주년 기념 행사가 성대하게 열렸다. 이날 유인촌 문화체육관광부 장관과 함께 김관영 전북도지사, 안호영 국회의원, 이동섭 국기원 원장, 이규석 세계태권도연맹 부총재, 양진방 대한태권도협회장 등 태권도계 내노라 하는 사람들이 자리를 함께 했다.


태권도원 규모는 결코 작지 않다. 태권도원 홈페이지에 따르면 전체 시설 규모는 서울 월드컵경기장의 10배고, 서울 여의도 면적의 2분의 1이나 된다. 태권도원을 운영 중인 태권도진흥재단에 따르면 지난 10년간 250만명이 이곳을 찾았다고 한다. 개원 첫 해인 2014년 16만명이 방문했었다는 데 지난해 방문자는 31만명이다. 10년 동안 두 배도 늘지 못했다.


이날 10주년 기념식에서 이종갑 태권도진흥재단 이사장 직무대행은 기념사를 통해 “개원 이래 10년 동안 코로나19 여파와 같은 여러 어려움 속에서도 방문객 250만 명을 달성했고, 매년 2만여 명의 외국인들이 찾았다”면서 “태권도원은 2030년 방문객 100만 명 목표를 반드시 실현할 것”이라고 밝혔다.


다만 ‘2030년 방문객 100만 명’ 달성을 위한 구체적인 수단을 밝히지 않은 점은 못내 아쉽다. 이종갑 이사장 직무대행이 이날 설명한 계획으로는 ▲한국관광 100선 선정으로 인한 관광명소 ▲ 스포츠관광 활성화 중심 ▲ 태권도인들의 도움 등이다.


태권도 경기 관련으로는 지난 2017년 세계태권도선수권대회 개최한 것과 함께 5월 ‘2024 파리 올림픽 태권도 심판, 코치 캠프’와 ‘옥타곤다이몬드 게임’ 등 대회가 열릴 예정이라는 것이 언급됐을 정도다.



지난달 29일 태권도원 개원 10주년 기념식에서 이종갑 태권도진흥재단 이사장 직무대행이 기념사를 하고 있다. 사진 제공=문체부

이런 방안들로는 태권도원 방문자 300만 시대를 위해서 많이 부족하다는 평가다. 그나마 최근 정책인 ‘스포츠관광 활성화’ 관련해서는 지난 3월 문화체육관광부가 태권도와 자전거, e스포츠를 중점 3대 사례로 내세운 바 있다.


이중 태권도와 관련해서는 한국관광공사와 태권도진흥재단이 무주 태권도원을 관광자원으로 활용하는 데 협력하기로 했다. 세부적으로 여름철에는 인근 덕유산 도보여행(트레킹), 겨울철에는 무주리조트 등 태권도원 주변 시설·자원 등과 연계한 관광상품을 개발한다.


또 군산항 중국 여객선으로 입항하는 관광객이나 무안공항 무비자 입국단체 등을 대상으로 태권도원 방문 체험 상품도 개발해 관광객을 유치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전 세계 태권도 수련인구 2억여 명이 방한 관광객이 되어 한국을 찾을 수 있도록 총력을 기울인다는 취지다.


여전히 새로운 프로그램은 많지 않다. 새로운 시설을 확보하겠다는 것도 아니다. 어렵게 찾아온 태권도원 방문객들이 사가지고 돌아갈 기념품 판매점 하나 아직도 없다는 것이 놀랍기도 하다.


태권도원의 운영 상황은 어떨까. 태권도진흥재단의 수장인 이사장 자리는 전임자가 지난해 6월에 임기를 11개월이나 남겨두고 사퇴한 이후 거의 1년째 공석이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