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 적금 가입 이제는 '모바일 앱' 대세

올 1분기 5대 시중은행
비대면 적금 가입 평균 82%
신용대출 4건 중 3건 비대면
영업점·ATM 수는 급감


올 1분기 5대 시중은행에서 가입한 신규 적금 10좌 중 8좌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등을 이용한 비대면 방식으로 진행된 것으로 나타났다. 예·적금이나 펀드 등의 상품 가입 뿐만 아니라 대출 등 여신 업무에서도 비대면 영업 비중이 빠르게 늘고 있다.


12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은행 등 국내 5대 시중은행의 올해 1분기 적금 신규 가입 중 비대면 가입 비중이 평균 82%에 달했다. 코로나19 팬데믹 이전인 2019년 1분기 60.0% 수준이었던 비중은 2022년 1분기 80.0%로 4년 만에 20%포인트 상승한 이후 최근까지 비슷한 수준을 이어가고 있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비대면 전용 상품의 금리 우대 구조가 제일 간단하고 최고 금리도 높아 다른 상품들보다 많이 판매되고 결과적으로 비대면 비중이 높아진 것"이라고 설명했다.


예금의 경우 5대 은행의 올해 1분기 비대면 가입 비중이 평균 69.6%로 집계됐다. 5년 전의 41.4%보다 30%포인트 가까이 상승했고 펀드 역시 2019년 1분기 53.6%에서 올해 1분기 74.8%로 비대면 가입 비중이 확대됐다.


여신 영업에서도 비대면 영업 비중이 빠르게 늘고 있다. 5대 은행의 올해 1분기 신용대출 가운데 75.0%가 비대면으로 이뤄졌다. 은행에서 목돈을 빌릴 때도 4명 중 3명이 더 이상 영업점을 찾지 않는 셈이다.


비대면 영업이 늘면서 영업점과 현금자동입출금기(ATM)는 줄어들고 있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5대 은행의 지난해 말 국내 점포 수는 3927곳으로, 5년(4699곳) 전보다 772곳(16.4%) 줄었다. 현금자동입출금기(ATM) 수도 같은 기간 2만 8698대에서 2만779대로 7919대(27.6%) 감소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