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증시, 외국기업 IPO 비중 39%…10여년만에 최고

올해 공모금액 1~3위 모두 해외기업
"기업 가치 더 높게 인정" 판단 때문

보행자들이 미국 뉴욕증권거래소 앞을 지나가고 있다. AP연합뉴스

글로벌 기업들이 자국 주식시장이 아닌 미국 증시에 상장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기업가치를 더 높게 인정받을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29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올해 뉴욕 증권거래소(NYSE)에 신규 상장한 기업들의 공모금액 171억 달러(약 23조 5600억 원)중 39%가 해외 기업이 차지했다. 나머지 61%만 미국 기업이었다. 미국 증시의 해외 기업 상장 비중이 40%에 육박하는 것은 10여 년 만에 처음이다.


공모금액 기준 1위 기업은 버뮤다의 크루즈업체 바이킹 홀딩스, 2위는 핀란드의 아머 스포츠, 3위는 카자흐스탄의 핀테크업체 카스피.KZ JSC로 모두 해외 기업이었다.


4위는 미국 기업 웨이스타홀딩스로 기업공개 규모는 10억 4000만 달러(약 1조 4326억 원)였다.


앞서 영국의 반도체 설계업체 Arm홀딩스도 지난해 뉴욕 거래소를 택해 52억 달러 규모의 기업공개를 했다.


이는 미국 시장이 기업의 주식 가치를 더 높게 인정해주기 때문이다. 나스닥의 필 매킨토시 수석 이코노미스트가 지난 4월 회사 웹사이트에 올린 글에 따르면 미래수익 대비 주가가 미국 시장은 평균 20.6배로, 유럽의 12.8배, 일본을 제외한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12.6배보다 높았다.


뉴욕증권거래소의 글로벌 자본시장 책임자 마이클 해리스는 "유럽의 포트폴리오 매니저들은 다양한 분야나 주제에 일반적 지식을 갖춘 제너럴리스트 성향이 강한 반면, 미국에는 분야별 전문 투자자가 많은 편"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주요 산업 분야에서 이런 깊이 있는 분석은 종종 더 높은 기업가치를 기꺼이 인정해 주는 결과로 이어진다"고 덧붙였다.


유럽과 아시아의 글로벌 기업이 미국 증시를 선택하는 추세는 앞으로도 이어질 전망이다. 스웨덴의 핀테크 기업 클라나뱅크는 200억 달러 규모의 기업공개를 준비 중이며 뉴욕 시장 상장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밝혔다.


멕시코 항공사 아에로멕시코 SAB와 인도의 알루미늄업체 노벨리스 등도 미국 시장 상장이 예정돼 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