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도 안보”…팬데믹 대비 백신 등 협력

中 제외 바이오제약 연합 출범
첨단 바이오 R&D 지원도 맞손

왕윤종 국가안보실 3차장이 4일(현지 시간) 미국 샌디에이고에서 열린 ‘바이오 인터내셔널 컨벤션(바이오USA)’ 행사장의 한국관을 찾아 설명을 듣고 있다. 연합뉴스

아시아와 미주, 유럽의 주요국이 코로나19 사태를 계기로 구성된 ‘바이오제약 연합’을 발판으로 삼아 의약품의 안정적 공급망을 구축하기로 한 것은 첨단 바이오가 경제안보의 핵심 분야로 부상한 상황과 관련이 깊다. 미국 의회가 중국 견제를 위한 ‘생물보안법’을 추진하는 가운데 바이오 산업을 둘러싼 국가 간 합종연횡이 주목받게 됐다.


한국, 미국, 일본, 인도, 유럽연합(EU)은 5일(현지 시간) ‘바이오 인터내셔널 컨벤션(바이오USA)’이 열린 미국 샌디에이고에서 민관 합동의 ‘바이오제약 연합’ 출범 회의를 열었다. 화두는 단연 의약품의 안정적 공급망 문제였다. 참여국 정부와 기업들은 바이오 원료 물질 생산이 소수 국가에 집중돼 있는 등 바이오제약 공급망의 취약점을 살피며 의약품 공급망 지도를 구축해 개선안을 함께 모색하자고 목소리를 높였다. 또 의약품 허가 제도를 균형적으로 보완하는 등 정책 개선으로 의약품 공급망 다변화를 촉진해야 한다는 데 합의했다.


이번 회의를 통해 각국은 바이오 정책과 규제, 연구개발(R&D) 지원 등 공급망 리스크를 예방하는 수단 확보에도 협력하기로 합의했다. 대통령실은 “5개국은 경제안보를 강화하기 위해 상호 신뢰할 수 있고 지속 가능한 바이오제약 공급망을 구축하는 것이 긴요하다는 데 깊이 공감했다”고 설명했다.


‘바이오제약 연합’은 그간 안보 개념이 취약했던 백신 등 의약품의 안정적 공급을 ‘보건 안보’ 측면에서 접근, 주요 국가들이 신뢰와 인프라 구축에 나섰다는 점에서 의미가 상당하다. 대통령실의 한 관계자는 “특정 국가에 집중된 바이오제약 분야의 공급망 위험을 우호국끼리 협력을 통해 위험을 분산시키고 공급을 보장할 토대를 마련한 것”이라고 말했다.


왕윤종 국가안보실 3차장도 4일 바이오USA 행사장에서 “지금까지는 바이오를 안보 개념으로 보지 않았지만 이제부터는 보건 안보 측면으로 볼 필요가 있다”며 보건 안보와 관련한 정책을 보건복지부와 함께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연합 회의가 생물보안법이 미국 상·하원에서 급물살을 타고 있는 상황에서 열린 것도 주목된다. 미국인의 건강 및 유전 정보를 중국으로 유출시킬 수 없게 하는 내용의 생물보안법은 우시바이오로직스 등 중국 바이오 기업을 겨냥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바이오제약 연합’에서 중국은 배제돼 있다.


5개국은 ‘바이오제약 연합’ 회의를 정례화해 공급망 리스크를 지속적으로 관리해나간다는 방침이다. 출범 회의에는 한국에서 대통령실과 보건복지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식품의약품안전처가 참여했고 국내 기업 대표로는 삼성바이오로직스(207940)와 셀트리온(068270)·GC녹십자(006280)·종근당바이오가 함께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