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같은 라커룸 쓰는 것도 끔찍"…수술 안 한 트랜스젠더 수영 선수 결국

AFP연합뉴스

비수술 트랜스젠더 수영선수 리아 토머스가 스포츠중재재판소(CAS)에서 패소하면서 2024 파리 올림픽 출전은 불가능하게 됐다.


13일(현지시각) 영국 가디언 등 외신은 “CAS의 판단에 따라 토머스의 2024 파리 올림픽 출전은 불가능하다”고 토머스의 패소 소식을 전했다.


CAS는 “토머스는 국제수영연맹이 만든 정책에 이의를 제기할 자격이 없다”며 “토머스는 현재 미국수영연맹 소속 회원이 아니다. 따라서 국제수영연맹이 주관하는 대회에도 출전할 수 없다”고 밝혔다.


이어 “토머스는 제도가 완전히 정비될 때까지는 ‘비엘리트 부문’ 경기에만 출전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토머스는 국제대회뿐 아니라 미국수영연맹이 주관하는 ‘엘리트 부문’ 여자부 경기에도 출전할 수 없다.


국제수영연맹은 지난 2022년 6월 “12세 이전에 성전환 수술을 받은 선수만 여성부 경기에 출전할 수 있다”며 “그렇다고 12세 이전에 수술하도록 권장하는 것은 아니다. 대부분 국가에서 그 나이 때 수술을 받는 게 가능하지 않다”고 밝혔다.


이는 성전환 선수의 여자부 경기 출전을 사실상 금지한다는 의미다.


남자로 태어나 ‘윌리엄 토머스’라는 이름으로 살아오던 리아 토머스는 2019년부터 호르몬 요법을 통해 여성이 되는 과정을 밟았다. 이후 2020년에는 이름을 바꾸고 여자부 경기에 출전했다.


남자 선수 시절 나이별 미국 랭킹이 400∼500위였던 토머스는 2022년 3월 미국대학선수권 여자 자유형 500야드에서 우승하며 주목받았다.


이후 "남자 생식기를 제거하는 수술을 받지 않는 리아 토머스와 같은 라커룸을 쓰는 게 끔찍했다"는 동료의 주장도 나왔다.


국제수영연맹이 트랜스젠더 선수의 여자부 경기 출전을 사실상 금지하면서 토머스도 2022년 6월부터는 공식 경기에 나서지 못했다. 이에 토머스는 소송을 제기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