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용인 퇴근길 빨라진다…광역버스 5개 노선 역방향 전환

서울시, 22개 광역버스 노선 조정
강남 방향 20개, 명동 방향 2개 대상
중앙버스전용차로 대신 가로변 정차

노선 변경 전후. 자료제공=서울시

서울 강남에 진입하는 광역버스 혼잡도를 낮추기 위해 일부 노선의 운행 방향을 오후동안 역방향으로 전환한다. 중앙차로 대신 가로변 운행을 확대하는 방안도 도입된다.


서울시는 국토교통부·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경기도·인천시와 협의해 오는 29일부터 22개 광역버스 노선을 조정한다고 17일 밝혔다. 강남 방향 20개, 명동 방향 2개 노선이 대상이다.


경기도 용인과 강남을 오가는 5개 노선(1560번·5001번·5001-1번·5002B번·5003번)의 강남대로 운행 방향이 오전과 오후 다르게 운영된다. 오전(A노선)에는 경부고속도로→반포IC→신논현→강남→양재IC→경부고속도로, 오후(B노선)에는 경부고속도로→신양재IC→강남→신논현→반포IC→경부고속도로로 운행된다. 퇴근길 강남대로 신논현→양재 방향에서 혼잡이 심해지는 현상을 고려한 조치다. 용인 거주 강남 직장인은 출근길에는 기존 정류장에서 타면 되지만 퇴근할 때는 반대편 정류장으로 가야 한다.


강남대로 중앙버스전용차로의 정체를 완화하기 위해 15개 노선은 일부 구간에서 가로변 차로로 조정된다. 인천 출발 노선(9500번·9501번·9802번), 고양 출발 노선(M7412번·9700번), 김포(M6427번·6427번), 파주(G7426번), 포천 출발 노선(3100번)은 강남대로 하행구간에서는 가로변 정류장에 선다. 양재에서 회차 이후 강남대로의 양재→신논현 방향 구간은 기존과 동일하다.


화성(동탄) 출발 6개 노선은 신분당선강남역 정류장 대신 인근 가로변 정류장에 정차한 후 뱅뱅사거리부터 중앙차로에 합류한다. M4403번·4403번·1551번·1551B번·8501번·8502번이 대상이다.



노선 변경 전후. 자료제공=서울시

성남에서 서울 명동으로 향하는 2개 노선(9003번·9300번)은 혼잡이 심한 명동 일대와 남산1호터널을 우회하도록 회차 경로가 기존 남산1호터널에서 소월로로 바뀐다.


윤종장 서울시 도시교통실장은 "버스 이용자는 물론 보행자와 운전자의 편의도 증진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광역버스 정책과 혼잡도 개선을 위한 대책을 마련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