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케미칼, 전기차 배터리용 '고강성 난연 PP' 개발…"고부가 제품 확대"

기존 소재 대비 친환경성·경량화 개선
배터리 제조사 요구에 따라 솔루션 제공


롯데케미칼(011170)이 전기차 배터리의 열폭주 현상을 지연할 수 있는 고강성 난연 플라스틱 소재를 개발했다. 기존 금속 소재 대신 플라스틱 소재를 배터리에 적용하면 화재 발생 시 연소 시간을 지연해 2차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롯데케미칼은 짧은 유리섬유(SGF)가 적용된 플라스틱 소재와 긴 유리섬유(LGF)로 강성을 보완한 플라스틱 소재를 개발했다고 20일 밝혔다.


이 소재들은 기존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대비 성형성이 우수하고 성형품의 경량화가 가능한 것이 장점이다. 또 난연 성능을 구현하는 유해 물질인 할로겐이 포함되지 않아 친환경적이다.


무엇보다 강성과 난연 특성을 개선해 배터리의 금속 소재를 대체할 만한 수준으로 평가된다. 실제 롯데케미칼은 자체 배터리 열폭주 시험을 통해 1000도 이상의 온도에서 성형품 본래의 형태를 유지한 채 SGF 플라스틱은 300초 이상, LGF플라스틱은 600초 이상 견디는 성질을 확인했다.


롯데케미칼 관계자는 “이번에 개발된 플라스틱을 배터리용 소재로 적용하면 화재 진압에 필요한 시간을 확보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라며 “배터리 제조사 요청 사항에 따라 다양한 기능의 솔루션을 제공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