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터리]녹색 공급망 재편이 시작된다

이인호 한국무역협회 상근부회장


탄소배출에 대한 규제가 국경 간 거래로까지 확대되면서 우리 수출 기업이 탄소 배출량을 확인하고 관리하는 것이 중요해졌다.


유럽연합(EU)은 수입된 제품의 탄소배출량이 EU 제품보다 많으면 비용을 부담시키는 탄소국경조정제도를 세계 최초로 도입했다. 비용 부담이 본격화되면 제품생산 과정에서 탄소배출이 많은 철강이나 알루미늄 같은 업종은 타격을 받을 수밖에 없다.


2027년부터 시행될 EU의 공급망실사 지침도 주목된다. 탄소배출은 물론 기업 경영활동이 초래하는 각종 환경영향 정보를 공개해야 하고 공급망 관리 책임도 져야 한다. 지난달 최종 채택된 EU의 에코디자인 규정은 환경·노동·탄소배출 등 환경·사회·지배구조(ESG)와 관련된 모든 정보가 디지털 제품 여권에 저장되고 공개되도록 명문화했다. 직접 탄소배출은 물론 공급받은 부품이나 제품의 운송·사용·폐기 과정에서 발생하는 간접적인 탄소배출까지 기업의 책임 범위가 공급망 전반으로 넓어지는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 대응하기 위해 글로벌 기업들은 공급망 전반에 걸쳐 정확한 탄소 배출량을 확인하고 확보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다양한 위기에도 민첩하고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2021년에 구축된 독일 자동차 산업 데이터 공유플랫폼인 ‘카테나-X’가 대표적인 예다. 자동차는 다양한 재료와 공정의 집약체라 탄소배출량을 산정하는 것이 불가능에 가깝다. 카테나-X는 정부 주도하에 모든 기업이 표준화 된 방식으로 탄소배출량을 산정해 관리할 수 있도록 했다. 2026년부터 시행되는 EU 배터리 여권 시행 과정에서 카테나-X가 플랫폼으로 활용될 수 있다 하니 참여하지 않으면 도태되기 십상이다.


글로벌 동향에 대한 적응은 수출경쟁력과 직결된다. 특히 화석 연료 발전 비중이 높은 제조업 중심의 우리에게 온실가스 배출 저감과 탄소중립 달성은 어려운 숙제다. EU로 수출하는 기업의 문제만이 아니다. 수출 원청기업에 납품하는 업체도 탄소배출 공급망 관리를 위해 다양한 요구를 받게 될 가능성이 높다.


이제 나만 잘해서는 살아남기 힘든 경제질서로 바뀌고 있다. 자사의 경쟁력이 전후방 협력업체들의 역량에 좌우되는 공급망 경쟁 시대가 다가오고 있다. 산업별 공급망 단위로 탄소배출 관리를 표준화하고 정보공유와 데이터 관리가 가능한 우리만의 협업 플랫폼이 하루빨리 마련돼야 한다. 그래야 어떤 정보를 얼마나 공개해야 하는지 정보를 줄 때 무엇을 조건으로 내걸어야 하는지 알 수 있다. 정부와 기업이 머리를 맞댈 때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