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성사고 대책위 "2017년 中 배터리 사고 때 정부·언론 역할했나"

화성사고 민간 대책위 26일 기자회견
“각광받은 배터리…노동자는 ‘폭탄’으로 불러”
사고 진상 규명·대책 촉구…“정부 노력 없어”

우다이 라이 이주노조 위원장이 26일 경기 화성시 일차전지 업체 아리셀 공장에서 열린 참사 대책위원회 기자회견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그 때 한국 정부가 리튬 배터리 공장 위험성을 인지했어야 합니다."


23명 사망자를 낸 배터리 공장 화재 사고 전 정부와 언론이 유사한 사고를 소홀히 대응했다는 지적이 나왔다.


'반도체 노동자의 건강과 인권지킴이'(반올림)에서 활동하는 이종란 노무사는 26일 경기 화성에 있는 사고업체 아리셀 공장에서 열린 아리셀 중대재해 참사 대책위원회 기자회견에서 "2017년 중국에 있는 삼성SDI 텐진공장 화재 때 소방차가 수백대 출동했지만, 불을 끌 방법이 없어 전소를 기다렸다고 한다"며 "당시 한국 정부가 리튬 배터리 공장 위험성을 인지하고 사업주가 예방 대책을 세웠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당시 사고를 알린 한국 기사들도 '인명 피해가 없었다' '영업생산 차질이 없었다' 등만 소개했다"고 역할 부재를 꼬집었다.


이 노무사가 당시 사고를 떠올린 이유는 '두 사고' 모두 배터리 공장에서 발생했기 때문이다. 아리셀의 모회사인 에스코넥은 삼성SDI의 1차 협력업체기도 하다. 이 노무사는 "이차전지는 산업적으로 각광을 받았지만, 노동자들은 배터리를 '폭탄'이라고 부를 정도였다"며 "실태 조사 결과 전기테스트에 참여하는 노동자 절반은 화재 사고 경험이 있다"고 말했다.


이날 대책위는 화성 사고 원인이 현장과 법, 제도가 합쳐진 구조적인 문제라고 한 목소리를 냈다. 우다야 라이 이주노동조합 위원장은 "우리는 이주노동자를 비롯해 모든 노동자가 안전하게 일하도록 대책을 요구했지만, 정부가 노력을 기울이지 않았다"며 "이주노동자는 같은 사회 구성원이다, 한국 사회의 인식과 법, 제도를 바꿔야 한다"고 촉구했다. 김진희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경기본부장은 "(사고업체의) 법 위반 사실이 밝혀지고 있지만, 빙산의 일각일 것"이라며 "짐작하건데, 다른 업체도 이런 방식(아리셀)으로 운영하는 곳이 만연해 있을 것"이라고 이번 사고의 진상 규명과 대책을 촉구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