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의 직장' 금감원 MZ세대 퇴사 러시…2010년 이후 최다

올해 상반기 2030직원 13명 퇴사
연간 기준 '최다 퇴사' 작년과 이미 동률
조직진단 외부컨설팅 완료…연내 발표


한때 ‘신의 직장’으로 불렸던 금융감독원에서 2030 MZ세대(밀레니엄+Z세대) 직원들의 퇴사 러시가 더욱 거세지고 있다. 올해 상반기에만 13명의 2030세대 직원이 자발적으로 금감원을 떠나 2010년 이후 2030세대 직원 퇴사자가 가장 많았던 지난해와 이미 동률을 이뤘다. 금감원은 7년 만에 조직진단 외부 컨설팅을 실시하는 등 대책 마련에 나섰지만 근본적인 퇴사 원인으로 지목되는 급여 체계는 손질이 어려워 고심이 깊어지고 있다.


17일 서울경제신문이 민병덕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을 통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2010~2024년 퇴직자(정년퇴직·임금피크 적용·무기계약직·임원 퇴임 제외) 현황’에 따르면 올 상반기에만 29명의 직원이 금감원을 떠났다. 2010년 이후 가장 많은 직원이 퇴사했던 지난해 전체 퇴직자(43명)의 67%에 달하는 수치다.


특히 2030세대 직원의 이탈이 가속화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올 상반기 20대 직원은 6명, 30대 직원은 7명이 퇴사해 연간 기준 최다 퇴사자가 나왔던 작년(20대 7명·30대 6명)과 이미 같은 수준이다. 연차별로 살펴봐도 저연차(1~3년차) 직원이 10명이나 떠나 이미 최다 기록을 세웠다. 2010~2021년까지 해당 연차 직원 퇴직자는 총 5명에 불과했는데 지난해 8명으로 늘더니 올해는 반년 만에 그보다 많은 인원이 제 발로 금감원을 떠난 것이다. 급수별로는 4·5급(선임조사역·조사역)이 16명으로 퇴직자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전문 인력 수급에도 어려움을 겪고 있다. 금감원에 따르면 공채 입사 회계사는 2021년까지만 해도 10명을 기록하는 등 두 자릿수를 유지해왔으나 이후 감소세를 보이디 올해는 단 1명에 그쳤다. 금감원은 빈 자리를 메우기 위해 경력 채용을 확대하고 있지만 과거와 비교하면 여전히 상황은 녹록지 않다.


가장 큰 이유는 업무 강도 대비 낮은 급여 때문이다. 지난해 금감원 직원의 평균 연봉은 1억 1061만 원으로 2019년 1억 518만 원보다 4.9%(543만 원) 증가하는 데 그쳤다. 반면 지난해 4대 금융지주 직원의 평균 연봉은 1억 7100만 원으로 격차가 크다. 특히 회계사에게는 20년 전 정해진 자격증 수당 30만 원이 추가로 주어지는 데 그쳐 저연차에게도 억대 연봉이 주어지는 주요 회계법인과 격차가 큰 상황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불과 2010년대까지만 해도 민간 금융사 대신 금감원을 택하는 금융권 취업준비생들이 더 많았다"며 “5대 회계법인·7대 로펌이라 불릴 정도로 전문 인력 수요도 많았는데 최근 몇년 새 급여 격차가 크게 벌어진 것이 큰 영향을 미쳤다”고 말했다.


문제는 금감원 재량으로 자유롭게 연봉 인상을 결정할 수 없다는 점이다. 금감원 예산은 금융위원회가 통제하고 있으며 연봉 인상은 기획재정부 가이드라인을 적용받는다. 연봉 인상률도 공무원 수준으로 제한돼 있어 민간 금융사와 격차를 좁히기는 쉽지 않다. 이에 당장은 유연근무·육아휴직 확대 등 복지 제도 향상에 주안점을 두고 조직문화 개선을 진행 중이다. 7년 만에 실시한 조직진단 외부 컨설팅도 최근 마무리 해 내부 검토를 거친 뒤 연내 발표·적용할 계획이다. 금융권 관계자는 “비슷한 문제를 겪고 있는 해외 금융당국은 독립적인 급여 체계 도입을 논의 중”이라며 “원활한 감독 업무 진행을 위해 적절한 보상이 이뤄지도록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민병덕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퇴사자 급증 현상은 정상적인 감독 업무에도 지장을 줄 수 있는 문제”라며 “급여 뿐 아니라 조직문화 차원에 직원 유출을 유발하는 원인이 무엇인지 정밀하게 파악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