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의 직장' 옛말…MZ 사라지는 금감원

올 상반기에만 13명 사표 써
年 최다 퇴사 지난해와 동률
연봉인상률 제한이 근본 원인


한때 ‘신의 직장’으로 불렸던 금융감독원에서 2030 MZ세대(밀레니엄+Z세대) 직원들의 퇴사 러시가 거세다. 올 상반기에만 13명의 2030세대 직원이 자발적으로 금감원을 떠났다. 2010년 이후 2030세대 직원 퇴사자가 가장 많았던 지난해 전체와 벌써 같은 수준이다. 비상이 걸린 금감원은 7년 만에 조직 진단 외부 컨설팅을 실시하는 등 대책 마련에 나섰다. 하지만 근본적인 퇴사 원인으로 지목되는 급여체계는 손질이 어려워 고심이 깊어지고 있다.





17일 서울경제신문이 민병덕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을 통해 금감원으로부터 제출받은 ‘2010~2024년 퇴직자(정년퇴직, 임금피크 적용, 무기계약직, 임원 퇴임 제외) 현황’에 따르면 올 상반기에만 29명의 직원이 금감원을 떠났다. 2010년 이후 가장 많은 직원이 퇴사했던 지난해 전체 퇴직자(43명)의 67%에 달하는 수치다. 이런 상황이 연말까지 이어진다면 지난해보다 2배가량 더 많은 퇴사자가 나올 가능성이 높다.


특히 젊은 직원의 이탈이 가속화하고 있다. 올 상반기 20대 직원은 6명, 30대 직원은 7명이 퇴사했다. 지난해 연간 기준 13명(20대 7명, 30대 6명)과 같은 수치다. 연차별로 살펴봐도 저연차(1~3년 차) 직원이 10명이나 떠나 이미 최다 기록을 세웠다. 2010~2021년까지 12년간 해당 연차 직원 퇴직자는 총 5명에 불과했고 지난해에는 8명이 퇴사했다. 급수별로는 4·5급(선임조사역·조사역)이 16명으로 퇴직자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금감원 직원들이 이탈하는 가장 큰 이유는 업무 강도 대비 낮은 급여다. 지난해 금감원 직원의 평균 연봉은 1억 1061만 원으로 지난해 4대 금융지주 직원의 평균 연봉 1억 7100만 원에 비해 낮은 수준이다. 특히 회계사에게는 20년 전 정해진 자격증 수당 30만 원만 추가로 주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불과 수년 전만 해도 일반 금융권 취업준비생들은 물론 전문인력들에게도 5대 회계법인, 7대 로펌이라 불릴 정도였다“며 “몇 년 새 급여 격차가 크게 벌어진 것이 이직에 큰 영향을 미쳤다”고 말했다.


문제는 금감원 재량으로 연봉 인상을 결정할 수 없다는 점이다. 금감원 예산은 금융위원회가 통제하고 있으며 연봉 인상은 기획재정부 가이드라인을 적용받는다. 연봉 인상률도 공무원 수준으로 제한돼 있다. 금감원은 우선 유연근무·육아휴직 확대 등 복지 향상에 초점을 맞춰 조직 문화를 개선하고 있다. 아울러 조직 진단 외부 컨설팅 결과에 대해 내부 검토를 거친 뒤 연내 확정할 계획이다. 금융권 관계자는 “비슷한 문제를 겪는 해외 금융 당국은 독립적인 급여체계 도입을 논의 중”이라며 “인력 유출이 감독 업무에도 지장을 줄 수 있는 만큼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