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19일 공화당 전당대회에서 대선 후보 수락 연설을 하면서 “미국을 다시 위대하게(MAGA)!”라고 외쳤다. 올해 11월 대선에서 당선되면 ‘미국 우선주의’를 앞세운 정책 노선인 트럼피즘을 강하게 추진하겠다는 의지를 밝힌 것이다. 실제로 그는 연설에서 미국 내 자동차 생산을 확대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중국이 자동차를 미국에 무관세로 수출하기 위해 멕시코에 대규모 공장을 짓고 있다면서 “각 자동차에 약 100~200%의 관세를 부과하면 미국에서 팔지 못할 것”이라고 했다. 이어 인플레이션감축법(IRA)을 겨냥해 “신종 친환경 사기”라며 “(대통령에 당선되면) 취임 첫날 전기차 의무화를 끝내겠다”고 밝혔다. 트럼프 2기 행정부가 들어서고 이 같은 정책을 강행할 경우 IRA 혜택 등을 믿고 미국·멕시코에 전기차 및 배터리 공장 신증설을 추진 중인 우리 기업들이 유탄을 맞을 수 있다. 앞서 트럼프는 중국이 아닌 다른 나라의 모든 수입품에 대한 ‘10%의 보편 관세’까지 공약한 상황이다.
트럼프 전 대통령이 재집권할 경우 외교안보 정책도 크게 달라질 것으로 예상된다. 동맹국 관계에서도 국익 차원에서 돈 거래를 중시하는 실리 외교 정책을 펴고 대북 협상에 적극 나서는 전략을 펼 것으로 예상된다. 트럼프는 수락 연설에서도 김정은 정권을 향해 “우리가 다시 만나면 나는 그들과 잘 지낼 것”이라고 언급했다. 게다가 한국·일본·유럽의 동맹국들을 겨냥해 방위비 분담금 인상 압박도 예고했다. 공화당 부통령 후보 J D 밴스 상원의원이 “미국 납세자들의 관대함을 배신하는 나라의 무임승차는 더 이상 없을 것”이라고 으름장을 놓았을 정도다.
트럼피즘은 이처럼 글로벌 패권 경쟁국인 중국에 대한 견제와 통제를 넘어 동맹과 우방에 대해서도 압박 강도를 높이는 방향으로 변모하고 있다. 그럴수록 우리 정부는 한미 양국 국익 지키기와 안보 강화의 접점을 정교하게 찾아 실행하는 복합 처방을 마련해야 한다. 혈맹의 상호 신뢰 기반 위에서 경제·안보·기술 동맹을 격상하면서 서로 이익을 주고받는 실용적 접근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초격차 기술 개발로 수출 경쟁력을 높이고 자주 국방력을 강화한다면 미국 대선 정국의 격랑을 넘어 한미동맹을 한층 더 굳건히 다질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