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사도광산 세계유산 등재될 듯…"조선인 노역 등 전체 역사 알릴 것"

■27일 세계유산위서 최종 결정
강제동원 등 전시시설 반영 약속
한일 정부 합의에 야당은 반발

일본 니가타현 사도광산 내 터널의 모습. 연합뉴스

일제강점기 조선인이 강제 노역을 한 일본 니가타현의 사도광산이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될 것으로 보인다. 한국 측 요구를 일본이 수용하고 일부는 이미 조치를 취해 핵심 유관국인 우리가 등재에 동의했기 때문이다.


외교부 당국자는 26일 서울 외교부 청사에서 기자들과 만나 “어려운 과정 끝에 한일 합의가 막판에 다다랐다”며 “27일 인도 뉴델리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WHC)에서 투표 대결 없이 사도광산의 세계유산 등재가 예상된다”고 밝혔다.


지난해 1월 일본은 사도광산의 세계유산 등록을 신청하면서 유산으로서 가치를 에도시대(17~19세기)에 한정하고 논란이 될 수 있는 한국인 노동자 강제 동원 시기(20세기)는 제외했다. 이에 우리는 강제 동원을 포함한 ‘전체 역사’가 반영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지난달 세계유산 자문 기구인 국제기념물유산협의회(ICOMOS)도 여러 지적 사항을 붙여 ‘보류’를 권고하고 “전체 역사를 다루는 시설 등을 갖추라”고 주문했다. 이후 한일은 관련 협의를 이어왔다.


외교부 당국자는 “일본이 전체 역사를 반영하겠다고 약속했고 이를 위한 실질적인 조치를 이미 취했다”며 한일이 이견을 좁힌 배경을 설명했다. 그는 “이번에는 2015년 ‘군함도’ 때와 달리 일본의 이행 약속만 받은 것이 아니라 구체적인 내용에 합의하고 실질적인 조치를 이끌어냈다”고 강조했다.





일본은 2015년 하시마(端島, 일명 군함도) 탄광 등 근대산업 시설의 세계문화유산 등재 때 조선인 강제 노역을 포함한 전체 역사를 함께 알리겠다고 약속했다. 하지만 관련 정보 센터는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지 5년 뒤인 2020년에 설립됐고 그마저 군함도가 있는 곳이 아닌 도쿄에 뒀다.


일본 아사히신문은 이날 “사도광산 관련, 한일 정부가 조선인 노동자 역사를 현지에서 전시하는 데 합의했다”고 보도했다. 일본이 이미 취했다는 ‘실질 조치’는 사도광산의 전시물인 것으로 보인다. 특히 아사히신문은 “일본 정부가 조선인 노동자 존재를 현지 전시로 소개할 것과 이런 입장을 세계유산위원회에서 표명할 방침을 정했다”고 전했다.


다만 ‘강제 노동’의 측면이 일본 측 전시물에 얼마나 부각될지는 지켜봐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일본은 군함도 유산정보센터에도 조선인에 대한 차별이나 인권 침해가 있었다는 사실을 부각하지 않았다.


1939년 이후 조선인 약 2000명은 사도광산에서 일제에 의해 동원돼 가혹한 환경에서 강제 노역을 했다. 외교부 당국자는 “일본과 협상이 비공개로 진행돼 사도광산 강제 노역 피해자 유족들에게는 협상 내용을 전달하지 못했다”고 설명했다. 다만 그는 “유족들이 유네스코 등재 자체를 반대하는 것은 아니다”라며 “가족이 사도광산에서 고생했던 현실을 제대로 반영할 수 있게 해달라고 요구했다. 그분들의 요구 사항이 (일본측 조치에) 어느 정도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고 평가했다.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등재 결정은 보통 세계유산위원회의 21개 위원국의 ‘컨센서스(전원 동의)’ 형태로 결정되며 한국도 위원국에 포함돼 있다. 전원 동의가 이뤄지지 않으면 협상을 거치고 그래도 합의에 이르지 못하면 최종적으로 투표를 할 수 있다. 다만 유네스코 사무국이 표결까지 가는 경우를 꺼려해 실제 표결을 거친 사례는 드문 것으로 알려졌다.


야당은 강력 반발했다. 황정아 더불어민주당 대변인은 “강제 동원 피해 현장을 세계유산으로 등록하겠다는 것도 어처구니없는 마당에 윤석열 정부가 일본의 과거사 지우기에 동의해주겠다는 것을 납득할 수 없다”며 “정부는 역사에 죄를 짓지 말고 사도광산 세계유산 등재를 막으라”고 반발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