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도광산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강제노동' 문구 빠져 논란

日 “한반도 등 모든 노동자 추모”
요미우리 "강제노동 빼는 대신 전시 제안"
정부 "日, 강제노동 이미 인정…이행조치에 집중"
野 “외교참사” 與 “한일 선순환의 결과”

일본 니가타현 사도광산 내 터널의 모습. 연합뉴스

일제강점기 조선인 강제 노역 현장인 일본 니가타현 사도광산이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최종 등재됐다. 다만 일본 측 발표에 조선인 ‘강제 노동’ 문구가 빠져 논란이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된다.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는 27일 인도 뉴델리에서 개최한 회의에서 일본의 사도광산 세계유산 등재를 컨센서스(전원 동의) 방식으로 결정했다. 정부는 일본이 ‘전체 역사를 반영해야 한다’는 요구를 수용하고 현장에 조선인 노동자 관련 전시물을 이미 설치해 등재에 동의했다.


가노 다케히로 주유네스코 일본 대사는 “세계 유산위 결정과 일본의 약속을 명심하며 특히 한반도 출신 노동자들을 포함한 사도광산의 모든 노동자들을 진심으로 추모한다”고 밝혔다. 또 “일본은 이미 모든 노동자들과 그들의 고된 작업 조건 및 고난을 설명하는 전시 자료와 해설 및 전시 시설을 현장에 설치했다”고 말했다. 전시물은 사도광산에서 약 2㎞ 떨어진 ‘아이카와 향토박물관’에 마련됐다.


다만 가노 대사의 발언에 강제 노동에 대한 언급은 없었다. 요미우리신문은 “일본이 강제 노동 표현을 사용하지 않는 대신 상설 전시를 통해 한반도 출신자가 1500여 명 있었으며 노동환경의 참혹함을 소개하는 방안 등을 제시하자 한국이 최종 수용했다”고 전했다. 이에 대해 외교부는 “강제노동을 빼기로 사전 합의했다는 것은 전혀 사실 무근”이라고 반박했다. 다만 외교부 고위 당국자는 “가노 대사의 발언은 2015년 하시마 섬(일명 군함도)의 세계유산 등재 당시 강제 노역을 인정한 일본 측의 언급까지 포괄하는 개념”이라며 “이번에는 더 나은 이행 조치를 챙기기 위해 노력했다”고 설명했다. 비록 강제 노동 문구는 없지만 일본이 2015년 군함도 등재 때 인정한 강제 노역이 이번 발표에 사실상 녹아 있다고 보고 전시물 설치 등 실질적 조치를 이끌어내는 데 주력했다는 의미다.


한편 한민수 더불어민주당 대변인은 27일 “가노 대사는 조선인 강제 동원을 끝까지 인정하지 않았다”며 “윤석열 정부의 외교 참사에 반드시 책임을 묻겠다”고 비판했다. 반면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여당 소속 위원들은 성명서를 통해 “사도광산에 강제 동원의 전체 역사를 담은 실질적 조치가 이뤄졌다”며 “한일 관계의 선순환을 만들어낸 결과”라고 평가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