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 중단한 댐건설 6년만에 '정상화'

극한가뭄 대비·산업용수 확보
양구·청양·연천 등 14곳 추진
年 2.5억톤 공급·220만명 사용

방류중인 군남댐. 연합뉴스

정부가 극심한 폭우와 가뭄에 대비하고 반도체 같은 국가전략산업의 물 수요를 뒷받침하기 위해 댐 14개를 짓기로 했다. 2018년 문재인 정부가 국가 주도 댐 건설 중단을 선언한 뒤 6년 만에 공식적으로 새 계획이 나온 것이다. 국내 다목적댐 건설 추진은 2010년 착공된 보현산댐 이후 14년 만에 처음이다.


환경부는 30일 강원도 양구의 수입천댐과 충남 청양의 지천댐 등을 포함한 기후대응댐 후보지 14곳을 발표했다.


김완섭 환경부 장관은 “기후위기로 인한 극한 홍수와 가뭄으로부터 국민의 생명을 지키고 국가전략산업의 미래 용수 수요 등을 뒷받침해야 한다”며 신규 댐 건설 배경을 밝혔다. 경기도 파주와 충남 부여 등 일부 지역은 집중호우로 피해가 커지는 반면 다른 쪽에서는 용수 부족에 산업단지 가동 중단 위기가 반복되고 있다는 것이 환경부의 설명이다.


후보지는 국가 차원에서 댐 건설이 필요하다고 판단한 5곳과 지방자치단체들이 건의한 9곳이다. 댐 건설 목적별로 △다목적(강원 양구, 충남 청양, 경기 연천) △용수 전용(전남 화순, 충북 단양, 경북 청도, 강원 삼척) △홍수 조절(울산 울주, 경북 김천, 경남 의령, 전남 순천·강진, 경북 예천·거제) 등이다.


계획대로 댐이 건설되면 총저수용량이 3억 2000만 톤 증가한다. 새로 공급되는 물의 양은 연간 2억 5000만 톤으로 220만 명의 시민이 이용할 수 있는 규모다. 신규 댐 추진은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처럼 확대되는 첨단산업 용수를 확보한다는 의미도 있다. 수도권 용수를 공급하는 소양강댐과 충주댐은 이미 용량의 94%를 사용 중이다.


환경부는 다음 달부터 지역 설명회와 공청회 등을 통해 지역 주민들에게 댐의 필요성을 설명할 예정이다. 지자체를 비롯한 관계기관과도 충분히 협의할 방침이다. 공공기관의 한 관계자는 “문재인 정부 때 댐 건설 중단을 선언했는데 이번에 14개의 신규 댐 건설 계획을 내놓으면서 완전히 정상화한 셈”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